정부가 4세대 이동통신인 롱텀에볼루션(LTE)보다 1,000배 빠른 5세대(G) 이동통신 주도권을 잡기 위해 핵심 서비스를 발굴하고 상용화를 추진한다.
정부는 이를 통해 2020년까지 민간과 공동으로 1조6,000억원을 투자해 1만6,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단말시장 1위, 장비시장 점유율 20%, 국제 표준특허 경쟁력 1위 등을 이룰 계획이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2일 개최된 제3차 경제관계장관회의를 통해 '미래 이동통신산업발전전략(Creative 5G Mobile Strategy)'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전략은 ▲5G 시장 조기 활성화 ▲5G 표준화 글로벌 공조 ▲도전적 연구개발(R&D) 추진 ▲스마트 신생태계 조성 등이 추진 목표다.
2020년께 상용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5G 기술은 최근 유럽, 중국, 미국 등에서 관련 기술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수년 내 치열한 기술 경쟁단계에 접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미래부는 지난해 5월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사와 삼성전자, LG전자, 에릭슨-LG 등 제조사, 중소기업 등이 참여하는 '5G 포럼'을 창립했다.
이를 통해 미래부는 미래 SNS, 모바일 입체 영상, 지능 서비스, 초고속 서비스, UHD·홀로그램 등 5대 핵심 서비스를 창출하기 위해 단계별 연구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시연할 계획이다.
표준화를 위해 글로벌 협력도 강화할 예정이다. 표준화 전 단계부터 유럽, 중국 등과 기술교류를 추진하고 국제공조를 통한 표준화를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모바일 광개토 플랜' 등 국내의 주파수 확보 계획을 반영해 글로벌 주파수를 확보하고, 6㎓ 이상 대역에서 신규 5G 후보대역을 발굴하는 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와 더불어 국제 표준특허 경쟁력 1위를 목표로 선도형, 글로벌시장 지향형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해외 연구기관과의 공동 연구를 추진하는 한편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장비, 단말, 서비스를 위한 전주기 기술사업화(R&BD)도 진행한다.
특히 국내 중소기업에 진입 장벽이 높은 통신칩 개발을 위해 우수 기업을 중심으로 중장기적 연구개발을 지원한다. 웨어러블 단말, 스마트카, 스마트 교육 등 신규 시장 확대에 대비하고 중소기업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분야를 선정해 중점 지원할 계획이다.
최문기 미래부 장관은 "2020년부터 2026년 간 5G 기기·장비의 수출을 통해 총 331조원의 매출과 국내 통신서비스 부문에서 68조원의 시장 창출이 가능할 것"이라며 "민관이 함께 힘을 모아 선도적 기술개발 및 활성화 정책을 적극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미디어펜 = 강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