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동향간담회 모두발언서 '통계 이면의 의미' 강조
[미디어펜=이원우 기자]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GDP 통계의 신뢰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한국은행 이주열 총재는 25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개최된 경제동향간담회 모두발언에서 "디지털 경제가 확산하면서 국내총생산(GDP) 통계의 신뢰도가 떨어지고 있다"며 새 지표 개발을 통해 한계를 보완하겠다고 밝혔다.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GDP 통계의 신뢰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면서 새로운 지표 개발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한국은행


이 총재는 "GDP가 일국의 경제 규모와 성장 속도, 물질적 번영의 정도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인 것이 사실이지만 근래 품질 차별화가 가능한 서비스업 비중의 증가, 디지털 경제 확대 등으로 그 신뢰성이 점차 하락하는 것 같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경제주간지 '이코노미스트'의 최근 기사를 인용해 '학원에 가지 않고 유튜브를 통해 무료로 강좌를 들으면 효용성이 높아지지만 GDP는 오히려 감소한다'고 사례를 들기도 했다. 마찬가지로 온라인 쇼핑, 인터넷뱅킹 서비스 등이 소비자의 후생을 증진시키지만 이로 인한 시설투자의 감소로 GDP는 하락한다.

이 총재는 프랑스 정부가 2008년 조지프 스티글리츠 교수를 주축으로 위원회를 구성해 GDP의 대안을 마련하는 작업을 진행한 사실도 함께 언급해 눈길을 끌었다. 

"최근 GDP 전망이 새로 발표될 때마다 관심이 매우 높은데 GDP 0.1∼0.2% 포인트의 차이가 과연 어느 정도의 의미가 있는 것인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면서 "GDP 통계 이면의 의미를 읽어내는 역량을 키워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이 총재는 "인터넷 빅데이터 활용 등을 통해 GDP 통계의 추정방법을 개선하는 한편 생활수준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지표를 개발하겠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