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상일 기자] 미세먼지 발생의 주원인 중 하나로 꼽히는 경유차를 주로 이용하는 건설기계차량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7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게차와 굴삭기, 덤프트럭 등 건설기계 등록 대수는 3월말 기준 45만482대다. 20년 전인 1996년(23만9081대)보다는 2배 가까이 늘었고, 10년 전인 2006년(33만2219대)보다는 약 35.6% 증가했다.

지게차와 굴삭기가 각각 16만6587대와 13만7505대로 건설기계의 약 67%를 차지한다. 덤프트럭은 5만5891대, 콘크리트믹서트럭은 2만4330대 수준이다.

문제는 이러한 건설기계의 거의 대부분은 경유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경유가 휘발유 등보다 상대적으로 가격이 싸고 디젤엔진의 출력·효율도 좋기 때문이다.

하지만 경유를 쓰는 건설기계는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2.5) 그리고 질소산화물(NOx)의 주 배출원으로 꼽히고 있는 상황이다.

앞서 지난해 11월 서울연구원이 발표한 '서울시 건설공사장 소음·대기오염 개선' 보고서를 보면 서울시 미세먼지 배출량의 31%, 초미세먼지의 32%, 질소산화물의 17%를 건설기계가 만들었다.

최유진 연구위원은 보고서를 통해 "건설기계는 일반 경유차보다 엔진출력 등이 크기 때문에 1대당 미세먼지 배출량도 많다"면서 "엔진이 낡을수록 미세먼지 배출도 늘어나는 데 건설기계는 사용 기간도 (일반 차보다) 길어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문제는 건설기계의 디젤엔진을 대체할 만한 마땅한 수단이 없다는 점이다.

최 연구위원은 "건설기계는 이동이 많지 않고 공사장 한 곳에 고정된 채 사용된다"며 "환경영향평가를 받는 대형공사장은 미세먼지를 관리하기 위해 낡은 건설기계 출입을 막는데 이를 중·소형 공사장으로도 확산시키는 것도 방법"이라고 제안했다.

이호근 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건설기계가 배출하는 미세먼지의 절대적인 양을 줄이려고 성급하게 대책을 내놓기보다 사람들이 많이 다니는 출퇴근 시간이나 주말 등에는 건설기계 작동을 금지하는 등 합리적인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이상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