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지난 4월 경상수지 흑자가 대폭 줄어들었다.
한국은행(총재 이주열)은 1일 발표한 '2016년 4월 국제수지(잠정)'를 발표해 지난 4월 상품, 서비스에 걸친 경상수지 흑자가 33억 7000만 달러로 집계돼 흑자액이 지난 3월(100억 9000만 달러) 대비 3분의 1 정도로 감소했다고 밝혔다.
77억 3000만 달러의 흑자를 기록했던 작년도 4월과 비교해도 흑자액은 44% 수준에 그쳤다. 수출 부진 등의 영향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되는 가운데 기업들의 배당금 지급 등을 포함한 본원소득수지는 적자가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고 외국인의 증권투자는 두 달째 늘었다.
그동안 경상수지는 경기침체 속에서 흑자를 기록하는 '불황형'으로 분석돼 우려를 자아냈지만 그나마 외환건전성에는 도움이 되는 측면이 있었다. 그러나 지난 4월에는 그 규모마저 대폭 줄어들어 우려를 낳고 있다. 대신 2012년 3월 이후 50개월 연속 경상수지 흑자 행진은 계속 이어져 '최장 흑자 기록'을 다시 썼다.
4월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18억 7000만 달러의 흑자를 기록한 2014년 1월 이후 2년 3개월 만에 가장 작은 수준이다.
상품수지 흑자는 95억 6000만 달러를 기록해 3월(124억 5000만 달러)보다 28억 9000만 달러 줄었다. 수출은 403억 1000만 달러로 작년 4월보다 19.2% 줄었고, 수입은 307억 5000만 달러로 18.7% 감소했다.
한편 서비스수지는 16억 2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고 적자폭은 10억 달러 수준이었던 3월보다 상당폭 확대됐다.
세부 내용을 보면 여행수지가 5억 3000만 달러 적자를 냈고 운송과 지식재산권사용료에서도 각각 5000만 달러와 6000만 달러 적자가 났다.
건설수지는 5억 5000만 달러 흑자가 났지만 흑자 규모는 전월(9억 2000만 달러)보다 줄었다. 급료‧임금과 배당, 이자 등 투자소득을 포함하는 본원소득수지는 40억 7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