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군멍군.'

세계최대 스마트폰시장인 미국에서 한국의 경쟁력 삼성전자 갤럭시S4와 애플의 아이폰 5S가 치열한 접전을 벌이고 있다. 마치 미국시장 전체를 장악하기위한 전략고지를 놓고 한번은 삼성이 빼앗고, 한번은 애플이 빼앗기는 치열한 공방전이 벌어지고 있다.

스마트폰 시장조사업체인 카운터포인트 리서치는 1일 2013년 10월에는 미국시장에서 애플 아이폰이, 11월에는 삼성전자가, 12월에는 애플이 다시 스마트폰 1위 자리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애플은 10월에 35% 이상의  점유율을 기록했으나 11월에는 31%까지 하락했다. 12월 블랙 프라이데이와 크리스마스 성수기에는  43%까지 급등하며 삼성을 눌렀다.

라이벌 삼성전자는 10월달에 30%에 다소 미치지 못하는 점유율을 기록했으나,  11월에 34%로 끌어올려 애플을 제치는 기염을 토했다. 하지만 애플이 초강세를 보이는 크리스마스시즌을 맞아 다시  30%까지 떨어지면서 애플에 정상을 내줬다.

삼성전자가 11월에 강세를 보인 것은 테블릿PC와 스마트폰의 합성어인 패블릿(phablet)인 갤럭시 노트3가인기를 끌었기 때문이다.  미국인들이 선물받기를 가장 선호하는 제품은 애플 아이폰이다. 애플은  12월 크리스마스 시즌에 총공세를 벌여 다시금 삼성전자를 2위로 밀어냈다.

청마의 해인 올해도 삼성전자는 애플과 물고물리는 극심한 쟁탈전을 벌여야 한다. 누가 먼저 혁신적인 차세대 스마트폰을 선보이느냐가 관건이다. 애플은 잡스의 타계이후 잡스의 영혼이 사라졌다는 비판에도 불구, 여전히 미국시장에서 최고의 위상을 차지하고, 영업이익도 삼성전자보다 놓은 실적을 올리고 있다.

미국인들은 여전히 미국이 자존심인 애플에 대해 무한애정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애플빠가 많은 미국에서  삼성전자는 최고급 제품 진용의 확대는 물론이고 소비자 요구에 부합하는 다양한 신제품으로 애플을 제치겠다는 다부진 목표를 세웠다.

한국경제는 뭐니뭐니 해도 삼성전자와 현대차가 이끌어간다. 삼성전자 갤럭시폰이 잘 팔려야 한국경제가 건실하게 성장한다. 삼성전자가 영업이익을 매분기 8조원이상 내야 외국인들이 한국물을 투매하지 않는다. 그래야 증시가 급락하지 않고, 회복된다. 현대차가 미국과 중국 등 전략시장에서 많이 팔아야 한국제조업이 살아난다. 투자와 일자리창출도 늘어난다. 현대차가 견실한 시장점유율과 매분기 2조원이상의 영업이익을 창출해야 자동차산업에 위기가 오지 않는다.

한국경제는 그야말로 전차군단이 이끌어간다. 전자의 삼성전자, 자동차의 현대차가 쌍두마차를 형성해서 한국경제를 이끌어가야 한다. 숙명이다.  [미디어펜=권일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