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2014년 산업연관표(연장표) 작성 결과' 발표
[미디어펜=이원우 기자]우리나라 경제에서 대외거래 비중이 감소한 한편 수출의 생산유발 효과도 낮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은행(총재 이주열)은 15일 발표한 '2014년 산업연관표(연장표) 작성 결과' 자료를 발표하면서 2014년 한국 경제의 재화와 서비스 총공급(총수요)이 4237조 8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30조 8000억 원(0.7%)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수출 751조 8000억 원과 수입 673조 7000억 원을 더한 대외거래는 1425조 5000억 원을 기록해 전체의 33.6%를 차지했다. 이는 2013년과 비교했을 때 1.5%p 낮아진 수치다.

대외거래 비중은 2012년 36.2%에서 2013년 35.1%로 낮아진 이후 2년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한국은행 경제통계국 권태현 투입산출팀장은 "원유 등 국제원자재 가격과 원‧달러 환율이 하락한 여파로 대외거래 비중이 줄었다"고 풀이했다.

한편 국내 산업의 총산출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도 줄어들었다.

2014년 총산출액(3564조 1000억 원)에서 수출에 의한 생산유발 비중은 41.2%로 2013년보다 1.3%p 떨어졌다. 총산출액 중 수출 비중은 2012년 43.2%에서 2013년 42.5%로 떨어진 뒤 2년째 하락 중이다.

반면 총산출액에서 투자 비중은 2013년 18.7%에서 2014년 19.4%로 0.7%p 올랐고, 소비는 38.8%에서 39.4%로 0.6%p 상승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