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렉시트‧미국 대선 변수로 작용…한국경제 영향은?
[미디어펜=이원우 기자]미국 연방준비위원회가 시장의 예상대로 6월 기준금리를 동결했지만 '연내 인상' 불씨가 완전히 꺼지지는 않았다. 한국의 경우 현행 연 1.25%인 기준금리가 추가 인하되어야 한다는 견해가 존재하지만 미국이 금리를 올릴 경우 한국의 선택지는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이 가운데 미국의 기준금리 연내 인상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도 함께 나오고 있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는 지난 15일(현지시간) 통화정책회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6월 정례회의 결과를 발표하면서 기준금리를 현재의 0.25%∼0.5%로 동결한다고 밝혔다.

   
▲ 미국 연방준비위원회가 시장의 예상대로 6월 기준금리를 동결했지만 '연내 인상' 불씨가 완전히 꺼지지는 않았다. 한국의 경우 현행 연 1.25%인 기준금리가 추가 인하되어야 한다는 견해가 존재하지만 미국이 금리를 올릴 경우 한국의 선택지는 제한될 수밖에 없다. /연합뉴스


정부는 미 연준 정례회의 결과 발표 직후 서울 명동 은행연합회에서 거시경제금융회의를 개최해 미국 기준금리 동결과 브렉시트(Breixt) 문제, 가계부채 상황 등 대내외 경제 위험요인을 점검했다. 

금융위원회와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국제금융센터 등 유관기관 관계자들은 이 자리에서 미 연준의 기준금리 동결에 대해 '예상된 결과'라는 반응을 보였다. 최근 미국 고용지표가 둔화되고 브렉시트 가능성이 제고됨에 따라 신중한 태도를 보일 것이라는 예측이 진작부터 힘을 얻었기 때문이다.

영국의 EU 탈퇴를 의미하는 '브렉시트' 가능성에 대해서는 세계 경제‧금융시장에 작지 않은 혼란이 야기될 것으로 예측됐다. 한국의 경우 영국과의 경제적 연계가 낮은 편이라 직접적인 영향은 크지 않지만 단기적으로는 외환시장이 요동칠 수 있다. 이에 정부는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브렉시트 투표 전후로 24시간 모니터링 체계를 가동하겠다고 발표했다.

한편 이번 6월에는 미국 기준금리가 동결됐지만 연내 금리 인상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국제금융센터는 이날 오전 속보 보고서를 배포하면서 "6월 FOMC가 노동시장의 회복을 예상하면서 금년 두 차례 금리인상 가능성을 유지했다"고 밝혔다. 

국제금융센터 해외정보실 최호상 실장은 이날 FOMC 결과에 대해 "(미국이) 현상유지 상태를 택해 당장 큰 영향은 없을 것"이라고 짚으면서도 "한국의 경우 수출상황과 고용전망이 좋지 않아 기준금리를 추가 인하하려는 유인이 존재할 수 있지만, 미국이 연내에 금리를 인상할 경우 양국 금리 차로 인한 자본유출이 발생한다는 점이 장벽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미 연준의 금리 인상이 올해 안에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도 같은 날 함께 나왔다. 하나금융투자 소재용 연구원은 "(미 연준 인사들의) 경기에 대한 판단과 예측 능력에 의문을 가질 수밖에 없다"면서 "6월 연준은 통화정책에 대해 갈팡질팡하며 불확실성만 남긴 꼴이 됐다"고 풀이했다. 

4월 이후 금리 인상 가능성을 강력하게 시사했음에도 불구하고 고용과 자본의 수요가 도리어 약화되는 등 예측이 크게 빗나갔다는 의미다. 특히 미국은 오는 11월 대선까지 앞두고 있다. 소 연구원은 "브렉시트라는 변수가 FOMC에 영향을 미쳤다면 자국의 선거에는 더욱 자유롭지 못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