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식품업계를 엄격히 규제하는 나라일수록 패스트푸드 소비 증가폭이 낮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세계보건기구(WH)) 회보는 2일(현지시간) 1999년부터 2008년까지 10년간의 세계 25개국의 패스트푸드 연간 소비 횟수를 조사한 결과 식품업계를 엄격히 규제하는 이탈리아, 네덜란드, 그리스, 벨기에 등에서 증가폭이 낮았다는 연구결과를 실었다.

반면 규제가 느슨한 캐나다, 호주, 아일랜드, 뉴질랜드에서는 증가폭이 컸다. 패스트푸드 소비 증가는 비만과 직결된다는 점에서 연구결과는 각국 정부는가 식품업계 규제를 통해 국민의 과체중과 비만 방지에 나서야 한다는 점을 지적한 것이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소득이 높은 25개 국가에서 한 사람이 패스트푸드를 소비한 연간 횟수를 조사한 결과 1999년 평균 26.61회에서 2008년 32.76회로 증가했다. 체질량지수(BMI) 역시 10년 새 25.8에서 26.4로 늘었다.

BMI는 체중을 신장으로 나눈 비만도 지수로, 25 이상이면 과체중이고 30 이상이면 상당한 비만이다.

연구를 이끈 로베르토 데 보글리 미국 캘리포니아대 교수는 "사실상 모든 국가가 지난 30년간 규제를 완화해왔다"며 "정부가 규제를 하지 않으면 시장의 '보이지 않는 손'이 세계적으로 비만을 촉진해 미래의 공중보건과 경제적 생산성에 처참한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이번 연구는 부유한 국가의 자료를 기반으로 했지만 연구결과는 개발도상국에도 유의미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WHO는 각국 정부가 비만 방지를 위해 좀 더 노력할 것을 촉구하면서 건강하고 신선한 식품을 파는 생산자를 우대하고 청량음료와 가공식품을 파는 회사에 불이익을 주는 정책 시행을 제안했다.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