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 1만5,000명, 페이스북 5,000명, 야후 3,000명 제공

미국 정보당국이 지난해 상반기 구글 사용자 9,000여명과 페이스북 사용자 5,000여명의 이메일과 채팅, 사적게시물, 메시지 등을 훔쳐본 것으로 드러났다.

 
영국 가디언지와 프랑스 AFP 통신 등은 3(현지시간) 구글, 페이스북, 야후, 마이크로소프트, 링크트인 등 미국 5개 인터넷서비스 업체들이 정부의 합법적 감청 요구에 대한 자료제공을 최초 공개했다고 밝혔다.
 
구글은 공식 블로그에서 국가안보국(NSA) 등 미국 정보 당국이 지난해 1~6월 사이 계정 9,000여개에 대해 이메일, 채팅 본문과 송신 파일 등 통신 콘텐츠를 제공하라는 요구를 해왔다고 밝혔다.
 
미 정보당국의 해당 감청 요구는 외국정보감시법(FISA)에 따라 이뤄지며 기업은 이를 의무적으로 수용해야 한다.
 
2012년 하반기에 미국 당국이 통신 콘텐츠를 들여다본 구글 계정은 12천여개(1212999)였다.
 
페이스북은 작년 상반기 계정 5,000여개에 대해 통신 콘텐츠 제공을 요구받았다. 정보당국이 메타 데이터를 요구한 페이스북 계정은 같은 기간 수백개(0999)였다.
 
야후에 대해서는 작년 16월 계정 3,000여개에 대해 콘텐츠 감청을 요구했다. MS는 같은 기간 15,000여개 계정의 통신 콘텐츠 제출을 요구받았다.
 
커리어 전문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링크트인은 작년 16월 정보당국이 자사 가입자 250명 미만에 대해 정보 감청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구글과 페이스북 등 5IT 기업은 작년 미국의 정보감시 파문으로 신뢰성에 큰 타격을 입자 감청 규모 공개를 추진, 지난달 미국 정부와 이번 현황을 발표키로 합의했다.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