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접적인 현금성 지원' 4.4%만 선호…선발기준 모호하고 수혜대상 협소
   
▲ 박원순 시장의 서울시 청년수당 정책 보완점에 대해, 응답자들은 대상자 선정의 객관적 기준 마련 31% 저소득층 집중지원 30.2% 지급한 수당에 대한 철저한 모니터링 23.2% 취업영역으로의 한정지원 9.4% 등으로 답했다./사진=미디어펜

[미디어펜=김규태 기자]2030세대 중 65%가 박원순 서울시장이 추진하고 있는 서울시 청년수당에 대해 반대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청년수당 선발기준이 모호하고 수혜대상자가 협소하다는 입장이 가장 큰 공감을 얻었으며, 박원순 시장이 주도적으로 밀고 있는 서울시 청년수당을 의미하는 ‘직접적인 현금성 지원’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4.4%만 선호한다고 답했다.

자세히는 응답자 64.8%가 서울시의 청년수당 정책에 반대한다고 답했으며, 가장 긴급한 청년 지원정책으로는 응답자의 52%가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꼽았다.

이는 바른사회시민회의와 청년이여는미래가 지난 7일부터 21일까지 2주간 구글 설문조사를 통해 2030세대 성인남녀 476명, 기타연령 24명, 총 504명을 대상으로 서울시 청년수당 정책의 찬반의견에 관한 공감도를 묻는 설문조사였다.

이번 설문조사에서 청년수당 찬반입장 공감 정도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들은 ‘선발기준이 모호하고, 수혜대상자가 3000명으로 협소하다’는 반대의견에 가장 크게 공감한다고 답했다.

반면 청년수당 정책이 ‘연간 90억으로 예산범위가 크지 않으니 해봄직 하다’는 찬성의견에 가장 공감하지 못했다.

특히 70% 이상의 공감을 받은 서울시 청년수당 반대의견들, “극히 일부에게만 혜택을 몰아주는 정책, 지역차별적 요소, 청년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니며 청년보다는 다른 취약계층에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 등은 서울시가 풀어야 할 숙제로 남았다.

또한 박원순 시장의 서울시 청년수당 정책 보완점에 대해, 응답자들은 ▲대상자 선정의 객관적 기준 마련 31% ▲저소득층 집중지원 30.2% ▲지급한 수당에 대한 철저한 모니터링 23.2% ▲취업영역으로의 한정지원 9.4% 등으로 답했다.
[미디어펜=김규태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