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취업자 6만명 늘었는데…단순노무직·단기계약직 '증가'
2016-07-01 09:06:53 | 이상일 기자 | mediapen@mediapen.com
[미디어펜=이상일 기자] 지난해 20대 취업자가 1년 전보다 약 6만명이 늘었다. 다만 단순노무직 중심으로 취업자가 늘어났고 청년층 단기 계약직 비중도 확대됐다.
1일 박진희 한국고용정보원 고용정보분석팀 팀장이 작성한 '최근 청년 고용의 특징과 정책적 시사점'이라는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20대 취업자는 1년 전보다 6만8000명 늘었다.
취업자가 뒷걸음질친 30대(-3만8000명), 40대(-1만4000명)에 비하면 양적으론 나은 편이지만 늘어난 일자리가 고용의 질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
20대 청년층 취업자가 가장 많이 늘어난 직종은 경비, 배달, 건물 청소 등 단순노무직으로 1년 전보다 2만3000명 증가했다. 판매 종사자(2만2000명), 장치·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가 1만6000명 순이었다.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는 8000명 늘어나는 데 그쳤고 사무 종사자는 3000명 줄었다.
단기계약직 비중도 확대되는 모습이다. 최종학교 졸업 후 첫 일자리의 고용 계약기간이 1년 이하인 청년층(15∼29세)은 2006년 8.7%에서 지난해 20.7%로 상승했다. 반면 계약 기간을 정하지 않은 비중은 같은 기간 66.9%에서 61.1%로 줄었다.
일자리가 불안정하다 보니 청년층은 일찍 이직을 고민하게 되는 것으로 보인다. 노동시장을 퇴장한 지 1년 이내인 청년 비경제활동인구의 이직 사유를 보면 15.8%가 노동 시간이나 보수 등이 불만족해서라고 답했다. 이 비중은 2013년 12.0%, 2014년 14.1%로 꾸준히 상승 중이다.
청년 고용 상황이 이같이 악화한 것은 경제 성장률이 둔화하면서 청년층이 선호하는 대규모 사업체의 채용이 주춤하고 있어서다.
실제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상시근로자 300인 미만 사업체의 신규 채용 직원 수는 1년 전보다 7.4% 증가했지만 300인 이상 사업체에선 3.0% 감소했다.
경제 상황이 나아지지 않는데다 올해부터 정년 60세가 의무화하면서 청년 고용 상황은 더욱 악화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박 팀장은 "신규 학교 졸업 청년, 니트족, 비진학 고졸 청년 등 청년 특성에 따라 취업역량에 차이가 있는 만큼 청년층을 유형화해 각각에 대응하는 취업 정책을 펴야 한다"며 "괜찮은 일자리 정보를 정기적으로 청년층에 전달하는 통로를 마련해 구인·청년구직자 간 미스매치 현상을 해소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