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 이기주의, 통곡하는 하청업체 외면
[미디어펜=김태우 기자]지난 5일 있었던 현대차 노사간의 임단협 협상에서 노조가 결렬을 선언하며 사실상 파업수순에 들어갔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노조 측은 회사에 임금 인상을 포함한 일괄제시안을 요구했으나 회사 측이 협상안을 제시하지 않아 협상부진으로 인한 결렬을 선언했다. 하지만 이런 노조의 선언이 22일 예정된 금속노조 총파업에 동참하기 위한 수순이라는 세간의 시선을 피하긴 힘들어보인다.

   
▲ 지난 5일 있었던 현대차 노사간의 임단협 협상에서 노조가 결렬을 선언하며 사실상 파업수순에 들어갔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미디어펜

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현대자동차 노조는 지난 5일 울산공장 본관에서 열린 제13차 임금협상에서 협상부진으로 인한 격렬을 선언했다. 

이어 현대차 노조는 이날 중앙노동위원회에 쟁의조정 신청을 했고 11일 임시대의원대회를 열어 파업을 결의한 뒤 13일 파업 찬반투표를 실시할 계획이다. 

중노위 쟁의조정 결과 조정중지 결정이 나오면 합법적인 파업이 가능하며 22일 예고된 금속노조 총파업도 동참이 가능해 진다.

현대차 노사는 지난 5월 첫 임금협상을 위한 상견례이후 두 차례의 협상을 더 벌였지만 서로간의 접점을 찾지 못하고 결국 협상이 결렬됐다. 현대차는 올해 경영악화 등을 이유로 임금인상이 어렵다는 의견을 내놓자 노조는 사실상 동결이라며 반발하고 이 같은 결정을 내린 것이다.

노조는 올해 임협에서 금속노조가 정한 기본급 7.2%인 임금 15만2050원(호봉승급분 제외) 인상, 전년도 순이익의 30% 성과급 지급, 일반·연구직 조합원(8000여 명)의 승진 거부권 등을 요구하고 있다.

또 통상임금 확대와 조합원 고용안정대책위원회 구성, 주간연속 2교대제에 따른 임금 보전 등을 요구했다.

현대차는 임금피크제(현재 만 59세 동결, 만 60세 10% 임금 삭감) 확대, 위법·불합리한 단체협약 조항 개정, 위기대응공동TF 구성 등을 노조에 요구했다.

현대차는 이를 통해 현재 극심한 사회문제로 화두되고 있는 청년실업률을 낮추는데 동참하고 보다 소통이 원활한 노사관계 조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노조의 정치적 움직임에 가로막혀 뜻을 펼치지 못하고 있다. 

현대차가 파업에 들어가며 하청업체들을 비롯해 관련부품업체에까지 큰 영향을 끼치므로 노조는 해마다 이를 무기로 회사 측에 자신들의 의견을 관찰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다.

앞서 현대중공업 노조는 쟁의조정 신청을 통해 조정중지 결정을 받으며 다음주중 파업 찬반투표의 결정에 따라 파업수순을 밟게 된다. 이런 현대중공업 역시 22일 금속노조 총파업에 동참하게 되면 지난 1993년 이후 23년 만에 동시 파업을 진행하게 된다.

이는 현대차 노조가 전국 최대 사업장의 위세를 앞세워 반구조조정의 선봉에 서서 여론몰이를 하고 있는 것이라는게 업계 관계자들의 분석이다. 

한편 노조의 부분파업으로 현대차는 지난 2014년 생산물량의 차질로 7500여원의 손실이 발생한 바 있고 지난해 역시 큰 손해를 입었다. 더욱이 현대자동차 같이 연계 산업분야가 많은 곳에서 노조의 이기주의로 하청업체들까지 손해를 입히고 있는 상황이다.

또 이번 파업이 현실화하면 2012년 이후 5년 연속 파업이 된다. 현대차는 올해 신흥국 경기 둔화와 중국판매 부진으로 고전하고 있다. 5월부터 해외판매가 조금씩 회복되는 기미를 보이고 있지만 파업이 이 같은 회복세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

일부에선 노조의 협상결렬 선언을 두고 노조가 애초 협상보다는 파업을 염두에 두고 명분 쌓기에 주력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이와 관련해 한 업계 관계자는 "현재 시점에서의 노조의 협상결렬 선언은 금속노조 파업에 동참하기 위한 일정 짜 맞추기로 밖에는 보이지 않는다"며 “현대차 노조는 협상대상에 관련한 내용을 정리한 뒤 협상테이블에 앉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우선이라는 것을 숙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미디어펜=김태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