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훼손 정도가 심해 한국은행이 폐기한 화폐가 올해 상반기에만 1조 5000억 원 어치를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은행(총재 이주열)은 11일 '2016년 상반기 중 손상 화폐 및 교환규모' 자료를 발표해 올 상반기 중 한국은행이 폐기한 손상 화폐 규모가 1조 5151억 원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
 |
|
▲ 훼손 정도가 심해 한국은행이 폐기한 화폐가 올해 상반기에만 1조 5000억 원 어치를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은행 |
한국은행은 재사용이 어려울 정도로 훼손된 화폐를 '손상 화폐'로 분류해 폐기하고 새 화폐를 대신 발행하고 있다.
이번에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올 상반기 손상화폐 폐기 액수는 1조 6614억 원을 기록했던 작년 하반기보다는 1463억 원(8.8%) 줄어들었다.
종류별로는 지폐 중 1만원권이 1조 2349억 원으로 전체 지폐 폐기액의 81.5%를 차지했다. 1000원권은 995억 원으로 6.6%였고 5000원권 955억 원(6.3%), 5만원권 844억 원(5.6%) 등의 순서였다.
동전 중에선 100원짜리가 4억원으로 전체 동전 폐기액의 절반가량인 49.4%를 차지했다. 이어 500원짜리는 3억원(37.0%), 50원짜리는 7000만 원(8.4%), 10원짜리 5000만 원(5.2%)였다.
올 상반기 폐기된 손상 화폐를 모두 새 화폐로 대체하는 데 들어간 비용은 219억 원으로 발표됐다.
국민들이 한은의 화폐교환 창구에서 손상된 화폐를 바꿔간 규모는 올 상반기 9억 1600만 원을 차지해 작년 하반기보다 1억 800만원(13.4%) 증가했다. 불에 탄 경우가 3억 9300만 원(42.9%)으로 가장 많았고 습기나 장판 밑 눌림 등으로 훼손된 경우도 3억 4800만 원(38.0%)에 달했다.
한은 관계자는 "훼손된 화폐 중 부적절한 보관방법이나 부주의로 인한 경우가 1871건으로 전체 건수의 74.2%에 달해 화폐사용 습관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