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한미 양국 간 사드 배치와 관련된 우려가 재계를 넘어 금융권에도 확산되고 있다. 중국 내 '혐한'이 금융권 현지 영업에 있어서는 큰 여파를 남길 것으로 보이지는 않지만, 신규 진출에는 제동이 걸릴 수 있다는 분석이다. 단, 장기적 관점에서는 오히려 리스크가 감소할 수 있다는 예측도 나온다.
11일 재계와 금융권에 따르면, 재계 내부에는 중국에서 '혐한' 분위기가 확산될 경우 기업들의 중국 영업에 제약이 생길 것이라는 우려가 존재한다. 특히 한국상품 불매운동과 같은 움직임이 생길까봐 자동차‧항공‧관광업계 등에는 긴장된 분위기가 역력하다.
|
 |
|
▲ 한미 양국 간 사드 배치와 관련된 우려가 재계를 넘어 금융권에도 확산되고 있다. 단, 장기적 관점에서는 오히려 리스크가 감소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연합뉴스 |
금융권의 경우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가 중국 영업 자체를 위축시킬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파악됐다. 어차피 중국 내부에 존재하는 현지 금융법인들은 지금도 중국에서 사업하는 '한국 법인'들을 상대로 영업을 펼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중국 당국이 금융산업에 대해 워낙 강력한 규제를 걸고 있어서 어차피 지금도 현지영업을 공격적으로 하진 못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새롭게 중국으로 '진출'하는 경우는 금융권에도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지적된다.
우선 제도적으로 엄청난 제약이 발생한다. 국내 금융기관들이 중국에 진출할 때에는 반드시 중국 금융당국의 승인을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한중 관계가 악화되고 혐한 수위가 계속 올라갈 경우 한국 금융기관들의 중국 진출은 원천적으로 봉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분위기는 한때 한중 FTA 가서명으로 양국 금융권의 분위기가 우호적이었던 시기와는 극명하게 배치된다. 한중 FTA 협정에는 '양국이 상대국에 진출할 경우 모든 신청 절차를 신속하게 처리하도록 노력한다', '상대국 금융회사가 자본시장 개방에 따른 이익을 반드시 누릴 수 있도록 노력한다'는 등의 내용이 포함된다.
지난달에는 중국 상하이에 원-위안화 직거래 시장이 개설돼 원화의 중국 진출까지 성사되는 성과도 있었다. 이와 같은 긍정적 흐름에 사드 배치로 인한 '중국 내 혐한' 분위기 조성은 의도치 않은 악재로 작용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중국시장에 대한 한국 금융회사 진출 개방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가운데 '북한'을 상대해야 하는 한국 내부의 지정학적 리스크를 감안할 때 사드 배치가 오히려 한국의 리스크를 줄여줄 수도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오정근 건국대학교 금융IT학과 교수는 기자와의 통화에서 "사드가 중국보다는 지속적으로 도발을 이어가고 있는 북한에 대한 대응체계라는 점을 중국과 러시아가 이해할 경우 리스크는 오히려 줄어들 수도 있다"고 말했다.
또한 오 교수는 "단기적으로 불안정한 모습이 감지되고 있지만 외교적 노력으로 리스크를 상쇄시켜야 할 시기"라면서 "중장기적으로 한국의 외화유출이나 신용등급 문제를 개선해 금융을 비롯한 중국 내 활동이 오히려 자유로워질 수 있도록 만들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