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불참, 독자기준 발표 업계 '촉각'
[미디어펜=김태우 기자]2018년 한국과 일본 유럽 등지의 각국마다 다른 자율주행과 관련된 통합기준이 마련될 전망이다.

이를 통해 각국은 고속도로에서 운전자가 핸들 조작을 하지 않고 추월하거나 차선 변경을 할 수 있는 차량의 조건 등에 대한 의견 차이를 정리하고 공통된 기준을 만들어 각국 기준으로 채택할 예정이다. 

   
▲ 현대차가 시범운행한 강남대로 자율주행 시연/현대자동차


11일 관련업계와 니혼게자이신문 등의 외신에 따르면 한국과 일본, 독일, 프랑스 등 유럽 주요국이 자율운행 자동차의 공통 기준을 만든다.

우선 2018년 중에 고속도로에서 운전자가 핸들 조작을 하지 않고 추월하거나 차선 변경을 할 수 있는 차량의 조건 등에 대한 기준을 만들어 각국 기준으로 채택할 예정이다.

자율운행 자동차 개발 선발 국가인 미국은 독자적인 규정을 만들 계획이어서, 한일과 유럽이 연대해 국제 기준화하려는 것으로 니혼게이자이는 분석했다.

현재 자율주행 분야에서는 미국 GM, 일본 토요타·닛산자동차, 독일 다임러 등 미국과 유럽, 일본의 주요 자동차 업체와 미국 구글 등 정보기술(IT) 업체가 각축을 벌이고 있다.

하지만 최근 미국 테슬라 자동차가 자율운행 중 사망사고를 내면서 자율운행 자동차의 개발 및 운행 기준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에 따라 현재 유엔 전문가회의에서는 추월·합류가 가능한 자율운행 자동차의 공통기준 제정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일본과 독일, 프랑스, 영국, 유럽연합(EU)은 물론 한국도 참가하고 있다. 연내에 기본적인 방향에 합의를 한 뒤 추가 논의를 거쳐 각국의 기준으로 채택할 예정이다.

공통기준은 자율주행 자동차의 추월은 고속도로에서만 허용하고,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엔 운전자에 책임이 있다는 내용이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기계보다 인간의 조작 우선, 운전자의 졸음 운전 및 한눈팔기 예방장치 탑재, 운전자가 경고에 반응이 없으면 안전 장소에 정차 등의 내용도 포함될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미국은 이 논의에 참가하지 않고 있으며 이달 내에 독자적인 기준을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업계 관계자는 “이번 자율주행과 관련된 기준이 정립되면 각국의 차량에 대해 자율주행 기술이 장착되더라도 혼선을 빚을 일이 줄어든다”며 “이는 완성차 업계뿐 아니라 보험과 법률 측면에서도 꼭 필요한 작업이다”고 조언했다.
[미디어펜=김태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