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공공조달시장에서 중소기업 등 약자기업 조달 비중이 늘고, 창업기업과 신기술개발분야 등의 조달 실적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달청은 10일 ‘2013년도 조달실적’을 분석한 결과 전년에 비해 중소기업으로부터 조달, 창조경제 관련 조달, 서비스 조달이 크게 늘어났다고 밝혔다.
중소기업을 비롯, 여성기업 등 약자기업으로부터 조달비중이 늘어 동반 성장과 경제 불균형 해소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 제품 비중은 2012년 76.6%(15조2,000억원)에서 2013년 78.1%(17조5,000억원)로 1.5%p 늘었다.
또 중소·중견 건설기업 수주비중이 같은 기간 66.7%(6조4,000억원)에서 78.0%(8조3,000억원)로 11.3%p상승해 내수침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의 숨통을 터 준 것으로 조사됐다.
기술개발제품과 창업기업의 공공판로 확대와 조달대상 신상품을 적극 발굴하는 등 창조경제의 생태계 조성에도 일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달청은 그동안 ▲공공조달 수요를 활용한 창조경제 지원 ▲수요기관·거래기업 중심의 조달서비스 혁신 ▲일하는 방식 및 조직 운영 혁신(조달청 3.0)을 위한 100개 과제로 이뤄진 조달행정 혁신방안을 수립해 추진해 왔다.
민형종 조달청장은 “공공조달을 통해 ‘희망의 새 시대’를 구현하고, 변화된 패러다임에 맞게 조달서비스를 혁신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긍정적 신호가 나타나고 있다”며 “앞으로 아직 존재하는 비정상적 조달관행을 정상화시키는 등 지속적으로 혁신을 추진해 공공조달을 통해 창조경제의 구현과 경제부흥을 이루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권일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