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토교통부가 리콜한 자동차가 100만대를 넘어섰다. 2002년 130만대, 2004년 136만대 리콜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은 수치다. 국산차 중에서는 현대자동차, 수입차는 토요타가 가장 많은 리콜 대수를 기록한 것으로 알려졌다.
자동차의 리콜은 차량에 적용되는 전자기기 및 시스템이 더욱 다양해 지면서 앞으로도 지속 증가할 전망된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도 리콜에 대한 정확한 의미 파악과 권리 주장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자동차 리콜은 법규에 규정된 자동차 안전기준에 부적합하거나 안전운행에 지장을 줄 수 있는 결함이 발견된 경우 자동차 소유자에게 공개적으로 알려 시정하는 제도를 말한다.
실제 한국소비자원이 국내 101개 기업체 리콜실무자를 대상으로 '기업의 리콜제도 운영 현황 및 의식조사'를 실시 한 결과 응답자의 64.5%가 자진리콜 시행이 기업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답했다. 반면, 강제리콜에 대해서는 7.3%만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
 |
|
▲ 사진/한국소비자원 |
리콜을 시행할 때도 소비자와 언론의 부정적 인식(82.5%)과 소비자 불신에 따른 매출감소(62.9%), 소비자의 과도한 보상 요구(58.8%) 등의 이유로 기업이 적극적인 자세로 리콜에 대처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56.3%는 기업의 리콜 활성화를 위해 소비자의 긍정적 인식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정책 및 제도가 가장 시급하다고 응답했다.
이는 리콜에 대한 인식문제로, 마땅히 시행되고 실시해야 하는 제도가 감춰지고 오해를 사는 경우들이 발생하고 있다.
|
 |
|
▲ 사진/자동차 결함 신고센터 |
업계 관계자는 자동차 리콜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에 대해 “정당하게 요구할 부분은 요구하고 정말 심각한문제가 있고 개선되는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면 불매운동도 불사할 수 있어야 한다”며, “소비자들이 직접적인 행동을 보여줄 필요가 있으며, 시민들의 자동차에 대한 인식 계몽도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임기상 자동차시민연합 대표는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을 문제로 인식하고 시민의 힘으로 하나 되는 모습으로 해결해 나갈 방안을 구축해야 한다”며 “문제가 있어도 ‘어쩔 수 없다’, ‘방법이 없다’로 일관할 것이 아니라 때로는 단호한 모습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소비자와 기업 간에 안 좋은 시선으로 서로를 험담할 것이 아니라 대화와 소통을 통해 니즈를 충족시켜나가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디어펜=김태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