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기자] 삼성전자의 시가총액이 세계 24위로 뛰어오르면서 일본 시총 대장주인 도요타를 제쳤다. 세계 13위로 아시아 대장주인 중국 텐센트와 알리바바(15위), 공상은행(17위)도 곧 따라잡을 기세다.

19일 유가증권시장에서 삼성전자는 전거래일보다 3만5000원(2.13%) 오른 167만5000원에 거래를 마치면서 전날 기록한 3년 7개월여 만의 사상 최고가를 다시 갈아치웠다.

블룸버그 집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시가총액은 2110억1000만 달러로, 이틀 만에 120억 달러 넘게 불어나며 세계 24위로 뛰어올랐다. 작년 연말 1575억 달러로 37위를 기록했던 것에 비하면 격세지감이다.

삼성전자는 올해 들어 주가가 33% 상승하면서 일본 시총 대장주로 세계 27위인 도요타자동차의 시총 2009억 달러를 뛰어넘었다.

도요타자동차의 주가는 올해 들어 18% 빠졌다. 엔화가치가 올해 들어 달러화 대비 20% 이상 뛰면서 수출에 타격을 준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삼성전자의 시총은 같은 업계인 일본 소니의 414억 달러에 비해서는 5배에 달한다.

삼성전자는 아시아 대장주인 중국 텐센트(2천496억 달러)를 비롯해 알리바바(2420억 달러)와 공상 은행(2347억 달러)을 바짝 추격하고 있다.

저유가가 장기화하면서 시총 28위로 떨어진 페트로차이나(1962억 달러)는 이미 제쳤다.

삼성전자는 전세계 시총 상위그룹의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는 미국 상장사 가운데 셰브런(1천953억 달러)이나 코카콜라(1천903억 달러), 비자(1천895억 달러)의 시총은 이미 넘어섰고, 23위인 화이자(2천135억 달러)와 22위인 버라이즌(2천155억 달러)을 바짝 추격하고 있다.

네덜란드의 로열 더치 셸(2092억달러)도 제쳤다

하지만 전세계 시총 1위 애플의 시총 5878억 달러에 비하면 여전히 35% 수준이다.

가트너에 따르면 스마트폰 시장 선도주자 삼성전자는 2분기 애플보다 스마트폰을 3200만대 더 팔면서 애플과 격차를 벌렸다. 1년 전 2400만대 더 파는데 그친 것에 비하면 차이가 커졌다.

한편, 세계 시총 상위 500대 기업을 국적별로 보면, 미국이 207개로 가장 많고, 중국과 일본이 각각 38개, 영국이 29개, 프랑스가 26개, 독일이 19개, 홍콩이 15개, 인도가 12개다.

한국은 삼성전자 외에 한국전력(336위), 현대차(461위), 삼성물산(476위) 등 4개에 불과하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