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스바겐 디젤게이트·개소세 종료, 새로운 돌파구마련 시급
[미디어펜=김태우 기자]자동차 개소세 인하 종료와 폭스바겐 디젤게이트 등의 여파로 7월 수입차물량이 반토막이 났다. 

그간 프리미엄 이미지로 활발한 마케팅을 펼쳐온 수입차브랜드가 다양한 이슈로 이미지가 실추된 것이 주된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차를 집 다음으로 높은 재산목록으로 생각하는 국내소비자들을 만족시킬 만한 새로운 마케팅도입이 절실한 상황인 것이다.

   
▲ 자동차 개소세 인하 종료와 폭스바겐 디젤게이트 등의 여파로 7월 수입차물량이 반토막이 났다./미디어펜


29일 관련업계와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 통계에 따르면 7월 자동차 수입은 총 1만7897대로 6월보다 51% 감소했다.

주요 교역국별로 보면 7월에 독일산은 6423대가 수입돼 전월보다 57.7% 감소했고 미국산 수입차는 2357대가 수입돼 전월보다 52.2% 감소했다.

일본산 수입차는 7월에 3173대를 수입해 전월보다 20.1% 줄어들어 상대적으로 감소 폭이 작았다.

반면 영국산 수입차는 1912대로 전월보다 오히려 수입물량이 12.1% 증가했고 스웨덴산 수입차도 5.5% 증가했다.

7월에 자동차 수입이 급감한 것은 개소세 인하 조치가 종료된 것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개소세 인하가 종료되는 6월 말 이전에 차량 수입을 앞당겼을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국산차의 경우 출고 시점에 개소세가 부과되는 것과 달리, 대부분의 수입차는 차가 통관을 할 때 개소세가 부과되기 때문에 7월 이전에 수입차의 통관을 마치면 해당 차량은 이후에도 개소세 인하 혜택을 볼 수 있었다.

실제로 지난 6월 자동차 수입량은 3만6525대로 올해 들어 가장 많은 월간 수입량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그 결과 7월 자동차 수입 대수가 대폭 감소하는 결과를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

특히 독일산, 미국산보다 비교적 감소 폭이 작은 일본산 수입차의 경우에는 토요타가 개소세 적용 시점을 통관일이 아닌 등록일로 하는 점이 작용했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 수입차 브랜드들이 새로운 돌파구 마련을 위해 서비스네트워크 확대와 저렴한 수리비를 통한 고객부담 감소를 위해 노력중이다./인피니티


이와 함께 폭스바겐의 판매 정지에 따른 물량 감소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분석된다.

7월 초 검찰과 정부가 폭스바겐 차량 79개 모델에 대해 판매 금지 처분을 내리겠다고 공개적으로 밝히면서 아우디와 폭스바겐 차량의 판매가 타격을 입었고 자연히 수입물량도 줄어들었다.

업계 관계자는 "7월에 차 수입 대수가 눈에 띄게 급감한 것은 수입차 업체들이 개소세 인하 종료 등을 고려해 물량을 대량으로 앞당겨 들여오는 이른바 '사재기'를 한 것이 주된 이유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에 수입차브랜드의 새로운 돌파구마련이 시급하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더욱이 기존 국내완성차 시장이 개소세 인하 해택종료 후 소폭 축소된 상황에서 기존의 국산차를 대신해 소비자들이 선택할 메리트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수입차의 경우 기존프리미엄 이미지를 통해 고객들의 선택을 받아왔지만 서비스센터의 부족과 비싼 수리비용 등이 불만사항으로 꼽혀 왔다.

이런 상황에서 새로운 돌파구 마련을 위해 서비스업체 등의 확대와 저렴한 수리비를 통한 고객부담 감소가 절실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일부에선 이런 불만을 줄이기 위해 대체부품활용과 공식서비스 센터 외 수리업체 활용 등을 검토중이다. 

이와 관련해 업계 관계자는 "기존의 마케팅 방식에 한계점에 다다른 수입차 브랜드들이 새로운 돌파구마련은 꾸준히 언급된 부분이다"며 "기존의 판매에 치중했던 수입차들이 이젠 고객만족도 향상에 집중해야 할 때다"고 조언했다.
[미디어펜=김태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