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수지 적자수준↑ "여름철 해외여행객 영향"
[미디어펜=이원우 기자]경상수지 흑자규모가 대폭 줄었다.

한국은행(총재 이주열)은 1일 '2016년 7월 국제수지(잠정)'를 발표해 지난 7월 상품과 서비스 등을 포함한 경상수지 흑자가 87억 1000만 달러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로써 경상수지는 2013년 3월 이후 53개월 연속 흑자를 내면서 최장 흑자 기록을 다시 썼지만 흑자 규모는 월간 사상 최대 수준이었던 6월(120억 6000만 달러)의 72% 수준으로 줄었다.

이는 지난 4월(33억 7000만 달러) 이후 3개월 만에 가장 작은 수준이기도 하다.
 
한은 측은 이와 같은 결과에 대해 "지난 7월 수출이 부진한 영향으로 경상수지 흑자가 줄었다"고 풀이했다. 실제로 7월 상품수지 흑자는 108억 1000만 달러로 6월(127억 1000만 달러) 대비 상당폭 감소했다.

수출은 작년 7월보다 10.0% 줄어든 425억 1000만 달러를 기록했고 수입은 15.1% 줄어든 317억 달러였다. 수입이 더 많이 줄었다는 점에서 '불황형 흑자'가 이어지고 있는 셈이다.

7월 품목별 수출액(통관기준)을 보면 디스플레이패널이 13억 2000만 달러로 작년 동기대비 26.5%나 줄었다.

승용차‧부품(-11.9%)과 석유제품(-10.4%)의 감소폭도 컸고 서비스수지 적자는 6월 13억 8000만 달러에서 7월 15억 3000만 달러로 늘었다. 이는 여름철 해외여행객 증가로 여행수지가 12억 8000만 달러의 적자를 기록한 탓이다.

급료‧임금과 배당, 이자 등 투자소득을 포함한 본원소득수지 흑자는 5000만 달러를 기록해 6월 12억 6000만 달러에서 급감했다.

해외 직접투자에 따른 배당수지가 전월 6억 9000만 달러 흑자에서 3억 2000만 달러 적자로 전환됐다. 자본유출입을 나타내는 금융계정의 순자산(자산에서 부채를 뺀 것)은 93억 9000만 달러 늘었다.

직접투자는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22억 달러 증가했고 외국인의 국내투자는 12억 5000만 달러 늘었으며 주식, 채권 등 증권투자 순자산은 9000만 달러 증가했다.

내국인의 해외투자는 46억 2000만 달러 증가세를 보였고 외국인 국내투자는 45억 3000만 달러 늘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