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올해 2분기 경제성장률이 0.8%로 집계됐다.
한국은행(총재 이주열)은 2분기 국민소득(잠정)을 발표하면서 올해 4∼6월 국내총생산(GDP)은 375조 3336억 원(계절조정계열)으로 전 분기보다 0.8% 증가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결과는 지난 7월 발표했던 속보치(0.7%)보다 0.1%p 상승한 결과다. 작년 4분기 이후 세 분기째 0%대 성장률이 이어지고 있고 하반기엔 소비 진작 등 정책효과가 사라질 것으로 보여 성장 부진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고개를 들고 있다.
2분기 GDP 성장률은 작년 3분기 1.2%를 기록한 이후 3분기 만에 가장 높고, 1분기(0.5%)보다 0.3%p 상승했다.
그러나 작년 4분기(0.7%)이래 3개 분기째 성장률이 0%대에 머물고 있다. 작년 3분기 1.2%로 반등했던 것을 제외하면 2014년 2분기(0.6%)부터 8개 분기 동안 성장률이 0%대에서 탈출하지 못하고 있다.
내용을 세부적으로 보면 제조업 성장세가 전 분기 마이너스 0.2%에서 2분기 1.2%로 돌아섰다.
유가가 소폭 반등하면서 석탄‧석유제품과 화학제품 등이 늘었다. 건설업은 주거용 건물 건설을 중심으로 1.0% 증가했다. 1분기 4.8%보다는 성장세가 둔화했다.
서비스업은 운수‧보관업, 부동산‧임대업이 줄었지만 도소매‧음식숙박업, 문화‧기타서비스업 등이 늘어 0.6% 성장했다.
부문별로 보면 민간소비는 개별소비세 인하 영향으로 승용차 등 내구재 판매가 늘면서 1.0% 증가했다. 1분기에 민간소비가 0.2% 줄면서 ‘소비절벽’ 우려가 나왔던 것과 비교하면 호전된 결과다. 그러나 상당 부분 정책효과에 기인한 것이라 하반기 소비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잔존한다는 지적이다.
건설투자는 건물 건설이 늘면서 3.1% 늘었지만 1분기 6.8%보다는 성장세가 약화했다. 설비투자는 운송장비와 기계류 투자가 모두 늘어 2.8% 늘었다.
수출은 반도체, 석유‧화학제품 등이 늘어 1.1% 증가했고 수입은 원유, 자동차를 중심으로 2.1% 늘었다.
내수의 2분기 성장기여도는 1.2%p로 1분기 -0.2%p에서 플러스 전환됐다. 반면 순수출의 성장기여도는 -0.3%로 1분기 0.8%p에서 다시 마이너스로 바뀌었다.
GDP 디플레이터는 작년 동기대비 1.5% 올랐다. 소비가 늘면서 2분기 총저축률은 35.5%로 1분기(36.2%)보다 0.7%p 하락했다. 2분기 국내 총투자율은 1분기 27.4%보다 1.3%p 상승한 28.7%였다.
한편 2분기 실질 국민총소득(GNI)은 국제유가의 반등과 기업들의 배당금 지급이 늘면서 전기보다 0.4% 줄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