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정무위 국정감사에서 '한진해운 사태'에 대한 책임소재 공방이 이어지고 있다.
4일 오전부터 국회에서 진행된 정무위원회 국정감사는 오후 들어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의 출석으로 열기를 더해가고 있다. 한진해운의 구조조정 실패가 과연 누구의 책임으로 귀결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난타전'이 지속되는 양상이다. 조 회장의 '도덕적 해이' 문제가 반복적으로 지적되면서 조양호 일가에 대한 도덕적 책임도 가중될 전망이다.
|
 |
|
▲ 4일 오후 여의도 국회에서 진행된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한 증인들이 선서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
현재 국감이 진행되고 있는 정무위 회의실에는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과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이 나란히 증인으로 출석한 상태다. 산업은행은 한진해운의 주채권은행으로 올해 2월 취임한 이동걸 회장은 한진해운의 '법정관리'를 직접 결행했다. 이날 국감 현장에서도 이 회장은 '한진해운 측의 자구노력이 부족했다'는 입장을 견지했다.
오후 국감에 일반증인으로 출석한 조양호 회장은 대한항공 자회사인 에스오일 매각 등의 사례를 들면서 자구노력을 지속해 왔다고 변명했다.
약 1조원에 해당하는 자금을 투입했지만 "외국 기업들의 저가경쟁‧출혈경쟁으로 인해 사기업으로서는 버티기가 힘들었다"는 입장을 반복적으로 표명했다. '사기업으로서의 한계'를 재차 강조하는 모습은 '정부 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입장으로 비쳐졌다.
국감장에 출석한 의원들은 오후 국감의 거의 모든 질문을 조양호 회장에게 집중시키며 난타전을 펼쳤다. 특히 야당 의원들 전원은 조 회장에 대한 질의를 신청했다.
더불어민주당 박용진 의원은 "한진이 지난 6월 단기 유동성 공급을 요청하기 위해 작성한 공문을 보면 '향후 지원이 없을 경우 당사로서는 단기간 내 법정관리를 신청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면서 "이는 (채권단에 대한) 협박성 발언으로 볼 수 있다"고 압박 수위를 높였다. 이에 대해 조 회장은 "직접 작성한 공문이 아니라서 보지 못했다"며 즉답을 피했다.
공문 작성의 실무자로 지목된 석태수 한진해운 사장은 "(협박 취지가 아니라) 저희 회사 자금 사정이 그만큼 절박하기 때문에 꼭 좀 지원해주십사 하는 취지였다"고 변명했다.
심상정 정의당 의원 역시 조양호 회장에 대해 높은 수위의 압박을 이어갔다. 심 의원은 조 회장이 "누가 운영하든 해운업은 살려야 한다"고 반복적으로 언급하자 "그 단서를 계속 붙이는 건 본인은 손 떼겠다는 의미냐"면서 조 회장을 압박했다.
이어서 조 회장이 400억원의 사재 출연을 결정한 점에 대해 심 의원은 "그게 대주주로서 국민의 엄청난 지원을 받아 국적해운사를 운영했던 주주로서 합당한 수준이라고 생각하느냐"면서 "진정으로 (회사를) 살려야 된다는 각오가 있다면 전 재산을 털어서, 기업주는 망해도 기업은 살린다는 각오로 임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소 수척한 모습으로 국감장에 출석한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은 한진해운 법정관리 사태에 대해 "외국계 선사들의 물량공세와 저가공세로 인한 불가피한 사태"라고 반복적으로 주장했다. 또한 한진해운 인수 전후로 투자한 2조원과 관련해서는 "법정관리에 들어갔기 때문에 (지금은) 후회하지만 당시엔 가능성이 많아 보였기 때문에 자신있게 투자한 것"이라고 말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