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2018년 개최되는 평창동계올림픽이 은행권의 '고민거리'가 됐다. 후원금을 내며 스폰서로 참여하기엔 올림픽의 홍보효과가 의문시 되고 있기 때문이다. 올림픽 주최 측은 금융권의 적극적인 참여를 바라는 눈치지만 은행들은 요지부동이다. 일각에선 '기부금 할당'과 관련한 관치금융 논란도 일고 있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에 대한 후원금 모금이 최근 진행 중이다. 이미 조직위는 작년부터 금융권에 '러브콜'을 보내고 있었다.
|
 |
|
▲ 지난달 27일 서울 여의도 한강공원 일원에서 열린 2018 평창동계올림픽 G-500 공식행사에 참석한 조윤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왼쪽}과 이희범 조직위원장(오른쪽)이 대화를 하고 있다. /사진=문화체육관광부 |
지난달 평창동계올림픽조직위원회(조직위)는 은행연합회 측에 올림픽 행사에 대한 후원과 기부 요청의사를 재차 전달하기도 했다. 하영구 은행연합회 회장은 이를 주요 은행들에게 공지했다. 이희범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원장 또한 은행연합회를 방문해 금융사들의 후원을 요청했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조직위 측이 금융권으로부터 바라는 액수는 총 500억원 규모다. 주거래은행이 부담하는 공식 스폰서 비용은 150억원으로 산정돼 있다. 나머지 350억원은 6개 금융업권(은행‧보험‧증권‧카드‧자산운용‧저축은행 등)이 분담한다.
문제는 요청을 받은 시중은행들의 표정이 밝지 않다는 점이다. 평창올림픽의 행사 취지에는 공감하면서도 홍보효과에 비해 후원비용이 과도하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국내 개최' 메리트를 고려하더라도 피겨 김연아 선수의 빈자리를 대신할 '동계 스타'는 부재하는 상황이다. 동계올림픽의 인기를 긍정적으로 전망하기 어려운 이유다.
주거래은행으로 선정될 경우 부담이 더욱 크다. 150억원의 공식스폰서 비용 외에도 시설구축 등 추가 비용이 만만찮을 전망이다. 은행권 한 관계자는 "조직위 측에서 공식스폰서 후원비용을 낮추는 길이 유일한 대안"이라면서 "현재 상태로는 주거래은행 '총대'를 메려는 은행을 찾기가 쉽지 않다"고 우려했다.
조직위는 이미 국민‧KEB하나‧기업은행 등에 공식 스폰서를 제안했지만 거절당한 바 있다. 주거래은행 선정이 난항을 겪자 후원금 수준을 당초 300억~350억원에서 절반 수준인 150억원으로 낮췄지만 여전히 전망이 밝지 못한 모습이다.
이 가운데 '기부금 할당' 논란도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후원사 확보에 어려워진 조직위가 '기부금이라도 달라'는 요청의사를 밝히면서 논란이 더욱 커졌다. 이희범 조직위원장이 산업자원부 장관, 한국무역협회 회장, STX에너지·중공업 총괄회장, LG상사 대표이사 부회장 등 민관을 두루 거친 '거물급' 인사라는 점도 논란에 불을 지피는 모습이다.
은행권 한 관계자는 "평창올림픽에 대한 은행들의 부담이 이미 기정사실화된 상황에서 거물급 조직위원장의 요청이 계속 들어오다 보니 '사실상의 관치(官治) 아니냐'는 볼멘소리도 하나둘 나오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