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민순 회고록 폭로 "유엔 북한인권결의안 표결을 앞두고 북한에게 의견을 물어 기권"
[미디어펜=김규태 기자]문재인 더민주 전 대표는 15일 문 전 대표가 청와대 비서실장 시절인 지난 2007년 유엔 북한인권결의안 표결을 앞두고 북한에게 의견을 물었다는 '송민순 회고록' 폭로와 관련해 “(박근혜 정부는) 노무현 정부에게서 배워라”라고 말했다.

문 전 대표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송민순 전 장관의 책을 보면서 새삼 생각한 것은 노무현 정부가 참으로 건강한 정부였다는 사실”이라며 이같이 주장했다. 

노무현 정부의 유엔 북한인권결의안 기권 논란은 송민순 당시 외교통상부 장관이 최근 펴낸 회고록 ‘빙하는 움직인다’에서 문재인 당시 비서실장이 북한의 의견을 물어보자는 국정원장의 견해를 수용했다고 밝히면서 촉발됐다.

송민순 당시 외교통상부 장관은 “2007년 11월 유엔 북한 인권결의안 표결에 앞서 노 전 대통령 주재로 열린 수뇌부 회의에서 남북 채널을 통해 북한의 의견을 물어보자는 김만복 당시 국가정보원장의 견해를 문재인 당시 실장이 수용했으며, 결국 우리 정부는 북한의 뜻을 존중해 기권했다”고 밝혔다.

   
▲ 문재인 더민주 전 대표는 15일 문 전 대표가 청와대 비서실장 시절인 지난 2007년 유엔 북한인권결의안 표결을 앞두고 북한에게 의견을 물었다는 '송민순 회고록' 폭로와 관련해 “(박근혜 정부는) 노무현 정부에게서 배워라”라고 말했다./사진=문재인 페이스북 페이지


문 전 대표는 노무현정부 당시 북한 인권결의안 기권을 결정했던 과정을 말하면서 “정부, 특히 청와대의 의사결정과정이 이래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박근혜 정부는 노무현 정부를 배우기 바란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문 전 대표는 “2007년에 (결의안 찬성과 관련해) 격론이 되풀이 됐는데, 그 해 노무현 대통령과 김정일 위원장이 10·4 정상선언이 있었고 후속 남북 총리회담이 서울에서 열리고 있는 상황이었기 때문”이라며 “외교부는 그런 상황 속에서도 계속 찬성할 것을 강력하게 주장했고, 통일부는 당연히 기권하자는 입장이었는데, 이번엔 대부분 통일부의 의견을 지지했다”고 언급했다.

문 전 대표는 “심지어 국정원까지도 통일부와 같은 입장이었다”며 “노무현 대통령은 양측의 의견을 충분히 들은 후 다수의 의견에 따라 기권을 결정했다“고 당시 북한인권결의안에 기권한 과정을 설명했다. 
[미디어펜=김규태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