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오석 부총리 겸 기획기획재정부 장관은 2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9차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가계부채 관리를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의 주요 과제로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현 부총리는 이날 “가계부채는 오랜 기간 누적돼 온 문제로 이를 해결하지 않고는 금융시장 안정은 물론 내수활성화도 달성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어 “가계의 가처분소득대비 부채비율을 2017년말까지 현재보다 5%p 낮추겠다는 목표 아래 가계소득 개선과 부채부담 경감을 위해 범정부적 차원에서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이를 위해 고액전세대출 보증지원을 축소하고, 제2금융권의 건전성을 강화해 가계부채 증가속도를 적정수준에서 관리할 것”이라며 “장기 모기지 대출확대, 세제개선 등을 통해 주택담보대출이 선진국처럼 고정금리·장기분할상환 구조로 전환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또 “국민행복기금 채무조정 지원 등을 지속 시행해 취약계층의 채무부담을 완화해 나갈 것”이라며 “가계부채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일자리 창출 등을 통해 가계의 소득이 늘어날 수 있도록 관련 대책을 순차적으로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권일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