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소정 기자]송민순 전 외교통상부 장관은 19일 2007년 당시 참여정부가 유엔 북한인권결의안에 기권하기로 결정한 시기 등을 둘러싼 논란이 일자 자신의 주장을 입증할 “기록이 있다”라고 밝혔다.
송 전 장관은 이날 총장으로 재직 중인 서울 삼청동 북한대학원대학교로 출근하는 길에 기자들과 만나 ‘당시 청와대 회의 관련 기록을 공개할 의향이 있나’ 질문에 “(그게) 초점이 돼있는게 정말 참...”이라면서 “근데 논란이 되어서 말씀드리는 건데 기록이 있다”라고 말했다.
이른바 ‘송민순 회고록’과 관련해 지난 2007년 유엔 북한인권결의안 기권 시기가 쟁점이 되고 있다. 송 전 장관의 주장과 달리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측근은 “2007년 11월16일 노무현 전 대통령이 직접 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기권 결정을 내렸다”고 주장하고 있다.
|
 |
|
▲ 송민순 전 외교통상부 장관(오른쪽)은 19일 2007년 당시 참여정부가 유엔 북한인권결의안에 기권하기로 결정한 시기 등을 둘러싼 논란이 일자 자신의 주장을 입증할 “기록이 있다”라고 밝혔다./연합뉴스 |
하지만 새누리당은 “청와대가 2007년 11월16일 결론을 내려고 했지만 주무부서인 외교부에서 반대했고, 좀 더 검토하는 과정에서 11월20일 싱가포르를 방문 중이었던 노무현 전 대통령이 북한의 의견이 담긴 쪽지를 확인한 뒤에야 최종적으로 기권 결정을 내렸다”고 주장했다.
송 전 장관 당시 외교부 차관보였던 심윤조 새누리당 전 의원도 18일 새누리당 의원총회에 참석해 북한인권의결의안 기권 결정 시점에 대해 “2007년 11월20일”이라고 말했다.
심 전 의원은 이날 당시에 대해 “11월19일 알렉산더 버시바우 주한미국대사가 외교부 차관을 만나 ‘이번 인권결의안에 찬성해달라’고 요청했다”면서 “미국의 ‘찬성’ 의견을 받아 찬성했다면 말이 되는데 무슨 상황 감안했는지 노 전 대통령이 최종 ‘기권’을 결심했다”고 회고했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