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기업이라는 특성 때문에 남성적인 이미지가 강한 포스코가 여성 직원들의 근무환경을 개선하며 ‘여성 행복 일터’로 자리매김하고 있어 부러움을 사고 있다.
27일 포스코에 따르면 2008년부터 여직원수가 매년 10% 이상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사내 어린이집, 수유실을 비롯한 각종 인프라와 멘토링 등의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다.
이를 통해 일과 가정의 양립을 실현하고 여성 인력이 최대한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행복한 일터를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것이 포스코의 설명이다.
실제 포스코 여성 공채 1기로 1990년에 입사한 원료구매 부서의 L 부장은 슬하에 네 명의 자녀를 둬 사내에서 ‘다산의 여왕’으로 불린다. 입사 이듬해 결혼해 첫 아이를 낳고, 연년생으로 낳은 둘째와 4년 터울로 셋째를 출산했다.
매 출산 때마다 2개월의 출산휴가를 가진 L부장은 셋째를 출산한 지 5년이 지나 넷째 아이를 가졌을 때는 고민을 하기도 했지만 상관과 동료들의 격려로 3개월 간의 출산휴가 후 5개월 동안 육아휴직에 들어갔다.
L부장은 공채 출신 첫 여성 팀장을 거쳐 현재는 부서의 업무를 총괄하는 부장으로서 일과 가정을 모두 챙기는 모범사례로 꼽히고 있다.
▲사내 보육시설 확장…‘출산·육아 부담 덜어’
포스코는 육아휴직 사용으로 인해 승진 및 고과에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제도화하고 있다.
여직원들은 출산전후휴가 90일 외에 육아휴직을 법정 보장 기간인 1년에 1년을 더해 최대 2년까지 사용할 수 있고 육아휴직 대신 주 단위 15~30시간 범위 내에서 근로시간 단축근무 신청이 가능하다.
|
 |
|
▲ 지난해 9월 확장 공사를 마친 포스코센터 내 직장보육시설 '포스코어린이집'/포스코 제공 |
또한, 자녀가 있는 직원들을 위해 2006년부터 포항, 광양, 서울 등 각 사업장별로 직장보육시설을 설치하고 2012년에는 포항과 광양의 어린이집 정원을 포항은 99명에서 195명으로, 광양은 99명에서 138명으로 늘리는 등 지역별 보육 수요를 감안해 규모를 지속적으로 확장해 왔다.
포스코센터 내 직장보육시설인 포스코어린이집 역시 지난해 9월 정원을 60명에서 98명으로 확장해 개원했다. 사내에는 수유실 기능을 갖춘 여직원 휴게실 ‘여유(女幼)공간’을 마련해 여직원, 특히 임산부의 육아 대한 부담을 덜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다.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성장 및 역량 증진 지원’
포스코는 여직원들의 역량 증진과 조직 내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각종 멘토링 프로그램들도 정기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여직원 멘토링 데이’는 점심시간을 활용, 사내 여직원 멘토의 강의와 질의응답 토크 형식으로 진행돼 일과 가정의 양립, 여직원의 커리어 개발, 리더십 코칭 등을 다루고 있다.
|
 |
|
▲ 포스코가 2011년부터 진행하고 있는 ‘여직원 멘토링 데이’는 일과 가정의 양립, 여직원의 커리어 개발, 리더십 코칭 등을 다루고 있다./포스코 제공 |
또 지난해부터는 출산 및 양육으로 인해 경력 공백을 겪는 과장급 여직원들에게 성장 비전을 제시하기 위해 리더십 특강과 역량 진단, 성장플랜워크숍으로 구성된 ‘W-리더십(Leadership)’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위민스 리더십(Women’s Leadership)‘이라는 사내학습동아리 운영을 통해서는 여직원들이 자발적으로 네트워킹을 함으로써 서로 정보를 공유하며 각종 고충도 해결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고 있다.
▲가족위한 프로그램 실시…‘가정친화적 환경 조성’
포스코는 가족과 함께 많은 시간을 보내지 못하는 워킹맘들과 가족들을 위해 2012년부터 매달 주말 포스코센터 직원들의 창의 증진 공간 ‘포레카’를 개방하고 외부 강사를 초청해 미술 창작, 클래식 음악 해설과 감상, 예술심리치료 등의 주말 가족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
 |
|
▲ 포스코는 매달 주말 포스코센터 내'포레카'를 개방하고 미술 창작 활동 등 주말 가족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포스코 제공 |
또 직원들은 가족의 질병, 사고, 노령 등의 이유로 휴직이 불가피할 경우 부모, 배우자, 자녀 및 배우자의 부모에 한해서 최대 90일까지 ‘가족돌봄휴직’을 사용할 수 있다.
포스코는 이러한 노력의 성과로 2011년에 가족친화기업 인증을 받았고, 2012년에는 가족친화경영대상 여성가족부 장관상을 받았다.
▲경력 단절 기혼 여성 일자리 창출 앞장…‘주부 직업훈련생 모집’
포스코는 출산, 육아 및 가사 등의 이유로 경력이 단절된 기혼 여성의 일자리 창출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2007년 국내 대기업으로는 처음 생산직 주부사원을 채용한 이후 매년 주부 직업훈련생을 모집해 기혼 여성들을 위한 안정적인 일자리 창출에 힘써왔다.
|
 |
|
▲ 포스코는 지난해부터 출산 및 양육으로 인해 경력 공백을 겪는 과장급 여직원들에게 성장 비전을 제시하기 위해 ‘W- Leadership’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포스코 제공 |
특히, 지난해 말에 도입한 시간선택제 사원 채용 시에도 경력이 단절된 기혼 여성을 우대할 방침이다.
포스코 관계자는 “향후 포스코는 여성직원들이 양육에 대한 부담을 최대한 줄이고 조직 내에서 성장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행복한 일터를 만들기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디어펜=권일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