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오석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7일 서울 정부중앙청사에서 ‘가계부채 구조개선 촉진방안’을 발표하며 “가계부채 관리에서 일자리 창출을 통한 소득의 증대가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현 부총리는 이날 “정부는 고용률 70%나 청년 및 여성일자리 확대 등을 통해 소득을 증대시키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며 “이와 함께 부채의 구조나 부채 자체를 줄이는 방안 등이 함께 강구됐다”고 말했다.

그는 최저임금 인상 문제와 관련해 “임금의 인상이 소득의 증가를 가져오겠지만, 고용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오히려 전체적인 소득에는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단순히 임금 자체만 볼 것이 아니라 경제 전체적으로 어떤 부분과 계층에 영향을 주는 지 전반적인 상황을 분석한 후 결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미디어펜=권일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