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조선업이 침체에 빠짐에 따라 함께 위기에 빠진 조선밀집지역을 부활시키기 위해 정부가 직접 소매를 걷어붙였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1일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개최한 뒤 '조선밀집지역 경제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이는 지난 6월 내놓은 '조선 구조조정 대응대책에 따른 조선지역 종합대책'의 일환이다.
|
 |
|
▲ 왼쪽부터 정은보 금융위부위원장, 최상목 기재부 차관, 정만기 산업부 차관, 운학배 해수부 차관이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개최한 뒤 브리핑을 진행하고 있다. /미디어펜 |
이번 활성화 방안의 핵심은 5개 조선밀집지역에 대한 대규모 투자‧융자안으로 구성됐다. 또한 △조선 연관 업종의 사업여건 개선 △보완 먹거리 육성 지원을 통한 지역산업구조와 체질 개선 △위기 대응 시스템으로서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제도 도입 등 3가지 사안도 동시에 추진된다.
이날 금융위‧해수부‧산업부‧기재부 등 정부 각 부처 담당자들은 정부서울청사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번 안의 골자를 설명했다.
최상목 기재부 제1차관은 "조선 수주잔량 하락, 임금체불 급증 등 경기 위축이 가시화되고 있는 5개 권역에 내년 중 2조 7000억원을 긴급지원하고 2020년까지 모두 3조 7000억원을 투‧융자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세부 내용을 보면 정부는 우선 2017년 중 긴급 경영자금 6800억원, 특례보증 8000억원, 조선구조개선펀드 2000억원, 소상공인 융자 6000억원 등 2조 3000억원을 투입한다. 여기에 조선기자재업의 고도화, 수출산업화 등을 목적으로 하는 자금 4000억원이 추가 지원된다.
아울러 정부는 486억원 규모의 50개 연구개발(R&D) 과제를 추진하는 동시에 산업전환지원자금(1250억원)과 지방투자보조금(1191억원), 23개 수출프로그램 등을 진행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조선업을 대체할 산업을 육성하는 데는 2020년까지 1조원을 투입한다. △ 규제프리존 연계형 △ 고유자원 활용형 △ 주변 산업 연계형 등 3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조선업 연관성과 조선지역 주변 산업과 고유자원 등 장점을 활용해 발굴할 계획이다.
정부 측은 이번 대책으로 5개 조선밀집지역의 조선업 의존도가 2014년 약 65%에서 2025년 43%로 22%p 낮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