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가계부채의 과도한 증가세가 다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한국은행(총재 이주열)이 1일 국회에 제출한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는 "민간신용이 실물경제에 비해 과도하게 늘어날 가능성에 계속 유의할 필요가 있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대한민국의 민간신용은 1988년 이후 3차례의 순환기를 거쳐 현재 제4순환기의 확장 국면에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현재 확장국면은 2010년 4분기 이후 22분기 동안 이어지면서 과거 확장국면의 지속기간 평균치(22.3분기)에 도달한 상황이다.
민간신용은 1988년 4분기 이후 41분기 동안 확장했다가 1997년 11월 외환위기를 계기로 수축기로 돌아선바 있다.
제2순환기인 2000년 4분기부터는 민간신용이 8분기 동안 확장됐고 2003년 3월 신용카드 사태를 계기로 수축 국면으로 바뀌었다. 제3순환기는 2005년 1분기부터 2010년 4분기로 분석됐다.
이때 민간신용은 18분기 동안 확장됐다가 2008년 9월 미국 리먼브러더스 사태로 수축 전환됐다.
한은은 "과거 세 차례 수축 국면으로의 전환이 외환위기, 신용카드 사태, 리먼 사태 등 주요 금융사건을 계기로 일정 시차를 두고 발생한 점을 감안하면 이번 민간신용 확장 국면은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한편 한은의 가계신용 통계를 보면 지난 6월 말 현재 가계부채 잔액은 1257조 3000억원을 기록해 올 상반기에만 54조 2000억원 늘어났다.
정부가 은행권의 여신심사 가이드라인 등 대책을 내놓았지만 저축은행 등 비은행권 대출이 산업용 부동산과 비주택담보 대출 중심으로 급증하는 등 '풍선효과'가 나타났다는 지적이다.
또한 한은은 이번 보고서에서 최근 월세 등 주거비와 다른 생활비 조달을 위한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이 꾸준히 늘어난 것으로 추정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