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이 4개월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3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10월 말 현재 외환보유액은 3천751억7천만 달러로 9월 말(3777억7000만 달러)보다 26억 달러 줄었다.
이로써 외환보유액은 지난 6월 3698억9000만 달러로 한 달 전보다 10억1000만 달러 감소한 이후 4개월 만에 처음으로 줄었다.
외화자산을 운용한 수익이 늘었음에도 외환보유액이 줄어든 것은 최근 미국 달러화가 강세를 보이면서 유로 등 여타 통화표시 자산을 달러로 환산한 금액이 줄었기 때문이다.
10월 한 달간 유로는 달러에 대해 2.2% 떨어졌고 파운드화 가치도 6.0% 하락했다.
외환보유액 중 국채와 회사채, 자산유동화증권(MBS) 등의 유가증권은 3422억9000만 달러로 9월 말보다 4억 달러 줄었다.
예치금은 237억8000만 달러로 21억2000만 달러 감소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의 특별인출권인 SDR은 25억3000만 달러로 한 달 새 5000만 달러 줄었다.
IMF에서 교환성 통화를 수시로 찾을 수 있는 권리인 IMF포지션은 17억7천만 달러로 3000만 달러 감소했다.
금 보유액은 매입 당시 장부가격으로 표시하기 때문에 전월과 변동이 없는 47억9000만 달러였다.
우리나라의 9월 말 기준 외환보유액(3777억7000만 달러) 규모는 세계 7위 수준이었으며 1위인 중국부터 6위 러시아까지 순위는 전월과 변동이 없었다.
중국은 3조1664억 달러로 한 달간 188억 달러 줄었지만 1위를 지켰고 2위인 일본은 41억 달러 늘어난 1조2601억 달러, 3위 스위스는 7006억 달러(+127억 달러)였다.
4위 사우디아라비아는 5539억 달러(-82억 달러), 5위 대만은 4367억 달러(+9억 달러), 6위 러시아는 3977억 달러(+25억 달러) 등이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