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최순실 게이트'로 일부 시중은행들이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부산 엘시티 사태가 새로운 뇌관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특히 부산은행 등 BNK금융 계열사들이 논란의 중심으로 부각된다. '특혜 대출' 여부가 핵심쟁점이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해운대 엘시티사업 인허가 과정을 수사 중인 검찰은 최근 자금조달 과정에 대한 수사를 진행 중이다. 현재 엘시티 시행사의 실질 소유주인 이영복 회장(현재 구속)에게 금융기관들이 수천억원 대의 특혜대출을 해줬다는 의혹이 부각되고 있다.
|
 |
|
▲ '최순실 게이트'로 일부 시중은행들이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부산 엘시티 사태가 새로운 뇌관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미디어펜 |
이야기의 출발은 2007년 11월로 돌아간다. 당시 이 회장이 실질 소유주인 주식회사 청안건설 등 22개 회사로 구성된 '트리플스퀘어' 컨소시엄은 부산도시공사로부터 해운대관광리조트 민간사업자로 선정되는 데 성공했다. 트리플스퀘어는 2008년 4월 이름을 '엘시티 PFV'로 바꿨다.
다음 달인 2008년 5월 엘시티는 부지매입 비용 마련을 위해 군인공제회와 3200억원 규모의 대여 약정을 체결했다. 당시 엘시티의 자본금은 300억원 규모였고, 대출이자도 못 낼 정도로 자금 사정이 안 좋았던 것으로 전해진다.
그런데도 군인공제회는 3200억원을 빌려줬고 심지어 2011년 5월로 돼 있던 대출기한도 여러 차례 연장해줬다. 같은 해 12월에는 250억원을 더 빌려주기까지 했다. 대다수 서민들은 물론 대규모 사업자들도 누리기 힘든 '특혜' 논란이 나오는 이유다.
군인공제회는 2014년 10월말 대출원금에 100억원을 더한 3550억원을 상환 받았다. 2379억원에 달하는 대출이자를 아예 면제를 받았다. 결과적으로 군인공제회가 엄청난 손실을 감수한 셈이다.
군인공제회에 돈을 갚은 이 회장은 금융기관 대출을 수소문하기 시작했다. 결과적으로 부산은행으로부터 3800억원을 대출받았다. 당시 이 회장의 개인 채무는 1800억원대였고 대출 시 담보도 없었다. 역시 절대다수의 국민들로서는 받기 힘든 특혜가 의심되는 대목이다. 이 회장은 최순실 씨(최서원으로 개명)와 친목계를 함께 한 사이로 알려졌다.
군인공제회 측은 특혜대출 관련 내용을 부인하고 나섰다. 한 관계자는 "부동산경기가 악화로 손해를 감수하고 투자금을 회수했을 뿐 특혜와는 아무 관계가 없다"면서 "외부 회계법인 용역까지 병행하며 고민 끝에 내린 판단이었다"고 말했다.
엘시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의 경우에는 연관된 금융기관이 좀 더 많다. 총 16개 금융사가 엘시티 PF와 1조 7800억원의 대출한도 약정을 맺었다. 이중 8000억원은 이미 대출이 된 상황이다.
이번에도 가장 큰 금액을 빌려준 곳은 부산은행으로 8500억원을 빌려줬다. 이어서 경남은행이 2500억원, BNK캐피탈 500억원을 대출해 줬다. 이들은 모두 부산지역을 기반으로 사업하는 BNK금융그룹 계열사들이다. 증권‧보험사 중에서는 메리츠종금증권이 1540억원, 메리츠화재 1100억원 등 15개 금융회사가 PF약정대출에 참여했다.
BNK금융지주 관계자는 일련의 논란에 대해 "16개 금융기관이 대주단을 구성해 수차례 사업성 평가를 거쳐 적법한 절차에 의해 대출을 진행했다"면서 '특혜' 의혹을 부정했다.
한편 부산은행은 2008년 엘시티 시행사가 설립될 당시부터 대주주로 참여했다는 사실이 드러나 양사의 관계에 대한 의혹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