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금융위원장이 필요시 시장안정 조치를 발동할 의사를 내비쳤다.
임 위원장은 2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9차 금융개혁추진위원회에서 "미국 신 행정부의 공약이 점차 구체화 되어 가면 글로벌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다시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며 "필요하다면 단호한 시장안정 조치를 하겠다"고 밝혔다.
|
 |
|
▲ 임종룡 금융위원장(사진 왼쪽)이 필요시 시장안정 조치를 발동할 의사를 내비쳤다. /금융위원회 |
임 위원장은 특히 시장금리 상승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이와 같이 발언했다. 그는 "미국 대선 이후 기대 인플레이션 상승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상 속도가 가속화될 가능성으로 시장금리 상승이 지속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가계부채 문제에 대해서도 발언했다. 임 위원장은 "최근 금리 상승으로 취약계층의 상환 부담이 확대될 우려가 있어 연체 차주 보호를 강화하고 서민·취약계층에 대한 금융지원을 확대하는 보완 방안을 함께 실시하겠다"고 발언했다.
지난주 발표한 8‧25 가계부채 대책의 후속 조치에 대해서는 "가계부채 증가의 주요 요인이던 집단대출과 상호금융에도 '상환능력 내에서 빌리고 처음부터 나눠 갚는다'는 동일한 원칙을 적용했다"며 "선진형 여신 관행 정착이라는 정책 방향이 가계부채의 모든 부분에 빠짐없이 적용된다는 의의가 있다"고 부연했다.
한동안 잠잠했던 성과연봉제 도입에 대한 강한 의지도 재차 내비쳐 눈길을 끌었다. 임 위원장은 "성과중심 문화 확산은 우리 금융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필수 불가결한 핵심 과제"라며 "이를 이루지 못하면 우리 금융산업의 미래는 없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우리은행 민영화에 대해서는 "지배구조와 관련한 약속들을 반드시 이행하겠다"며 "과점주주들의 집단지성과 경험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정부 관여를 배제하고 민간 중심의 지배구조를 조속히 형성하겠다"며 의지를 보였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