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겨울에 접어들고 있지만 통상 봄·여름에 기승을 부리는 식중독 의심 신고가 전국에서 잇따르고 있다. 노로바이러스 등에 의한 발병 가능성이 있어 위생관리에 심혈을 기울일 필요성이 있다.

지난 24일 대구의 한 고등학교 학생 37명이 점심 급식을 먹은 후 오후 5시쯤 설사와 복통 등 식중독 증세를 보였다. 교육당국은 점심과 저녁 급식으로 제공한 음식물, 학생 가검물 등을 채취해 역학 조사 등을 하고 있다.

지난 17일 경기 고양의 초등학생 10여명도 식중독 증세를 보였고, 18일엔 경남 거창과 창녕의 초등학생 80여명이 같은 증세를 보여 병원 치료를 받았다.

17일 충남 서산에서 회를 먹은 10여명이 복통과 구토 등을 호소, 인근 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사례도 있다.

식중독은 늦봄이나 한여름에만 걸린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겨울철에도 발병 사례가 적지 않다.

29일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안전정보포털의 최근 5년(2011~2015년)간 월별 평균 식중독 발생 건수와 환자 수를 보면 6월 30.6건(660.2명), 7월 27.2건(532.4명), 8월 31건(1127명) 등이다.

주로 여름에 식중독 사고가 집중되는 것은 사실이지만, 12월 26.8건(424.2명), 1월 17.4건(219명), 2월 13.2건(204.4명) 등 완연한 겨울철에도 식중독은 계속 발생한다.

식중독을 유발하는 노로바이러스 등 바이러스류는 높은 기온에서만 활발히 활동하는 세균과 달리 낮은 기온에도 버티기 때문이다. 

2011~2015년 평균 46건의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사고가 있었는데 절반에 달하는 24건(53%)이 12월과 2월 사이에 발생했다.

미량의 바이러스 입자로도 감염될 수 있는 노로바이러스는 물과 어패류 등 섭취를 통해 감염될 수 있다. 손을 잘 씻고 물과 어패류는 꼭 가열해서 과일과 채소는 물에 잘 씻어서 먹어야 한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