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지난 10월 대한민국의 경상수지 흑자규모가 전월보다 소폭 증가하면서 56개월째 흑자행진을 이어갔다.
한국은행(총재 이주열)은 1일 '2016년 10월 국제수지'를 발표해 10월 상품과 서비스 등을 포함한 경상수지 흑자규모가 87억2000만달러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로써 경상수지는 2013년 3월부터 56개월 연속 흑자를 내면서 최장기 흑자 기록을 다시 썼다.
흑자규모는 전월보다 6억5000만달러 늘었지만 전년 같은 달(95억8000만달러) 보다는 줄었다.
상품수지는 98억3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해 9월보다 8억3000만달러 감소했다. 이로써 올해 들어 10월까지 상품수지의 누적 흑자규모는 1005억9000만달러로 집계돼 1000억달러를 넘어섰다.
10월까지 경상수지 흑자규모는 819억2000만달러 수준이다.
10월 수출은 작년 동기보다 6.3% 줄어든 433억4000만달러를 기록했고 수입은 5.0% 감소한 335억1000만달러로 집계됐다.
수출은 9월에 전년 동기 대비 0.8% 감소했지만 10월엔 감소 폭이 다시 늘어났다. 10월 수출 부진엔 해외수요 부진과 자동차 업계의 파업, 태풍, 삼성전자 갤럭시노트7 단종 등의 영향이 작용했다.
박종열 한은 금융통계부장은 "11월엔 영업일수가 늘고 원유도입단가가 상승한 데다 자동차, 스마트폰 등의 부정적 영향이 일단락돼 수출입 규모가 늘어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10월 서비스수지 적자 규모는 15억9000만달러로 집계돼 5년 9개월 만에 최대였던 9월(25억8000만달러)보다 10억달러 가량 감소했다.
운송수지는 1억5000만달러 흑자를 내 한진해운 법정관리 여파로 2억4000만달러 적자를 냈던 9월보다 다소 개선됐다. 그러나 운송수지 흑자 규모는 작년 같은 달(4억달러)의 절반에도 못 미쳐 해운업계 부진여파가 이어짐을 알 수 있었다.
여행수지는 본격적인 여름 해외여행 시즌이 끝나면서 적자 규모가 9월 10억9000만달러에서 10월 5억달러로 줄어들었다.
지식재산권사용료 수지는 적자 규모가 9월 3억9000만달러에서 10월 5억1000만달러로 커졌다. 급료‧임금과 배당, 이자 등 투자소득을 포함한 본원소득수지는 8억6000만달러 흑자를 냈다.
한편 외국인 국내투자 감소 규모는 9월(19억3000만달러)보다 크게 늘었다. 외국인 국내투자는 2개월째, 이중 특히 채권투자(-37.8억달러)는 석 달째 감소행진이 이어지고 있다.
외환보유액에서 환율 등 비거래요인을 제거한 준비자산은 2억2000만달러 증가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