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한기호 기자]한광옥 대통령 비서실장은 5일 박근혜 대통령이 국회에 임기단축을 포함한 퇴진 일정을 국회가 마련해달라고 밝힌 3차 대국민 담화에 대해 '조기 하야 선언'으로 봐야 한다고 언급했다. 박 대통령이 곧 결단을 내릴 것이라고 내다보기도 했다.
다만 퇴진 일정에 대해 여야 간 논의와 국민적 의견 수렴이 전제돼야한다는 견해와 함께, 새누리당 독단의 '4월말 퇴진-6월 조기 대선' 당론만을 근거로 할 수 없다는 입장을 시사했다.
한광옥 비서실장은 이날 '최순실 국정농단 의혹' 진상규명을 위한 국회 국정조사특별위원회 기관보고에 출석해 '3차 담화를 조기 하야 선언으로 해석해도 맞느냐'는 하태경 새누리당 의원의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다.
한 비서실장은 박 대통령이 임기에 연연하지 않는다면서 "대통령이 충분히 여러 의견을 들어 종합하고 고민해 결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
 |
|
▲ 한광옥 대통령 비서실장./사진=연합뉴스 |
퇴진 일자를 스스로 밝히지 않고 국회로 공을 넘겼다는 불만 제기엔 "(대통령이) 날짜를 박는데는 많은 분들의 의견이 필요하다"면서 "국정이 안정적이고 평화롭게 헌정질서에 따라 이양되도록 하는 것도 대통령의 책임이므로 그런 점을 심사숙고하는 데서 좀 늦어졌다"고 우회 반박했다.
그는 박 대통령이 곧 날짜 결단을 내릴 것으로 안다며 "이 결단을 내리는 것은 아마 여러분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서 결정을 할 것으로 알고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러면서 "당에서도 요구하고 있는데, 여야 간 나름의 대화도 있어야겠지만 역시 대통령은 당원이라는 점 등을 여러가지로 참고해달라"며 "가장 중요한 건 대통령께서도 국민들의 뜻에 따라 선출된 분으로, 국민 뜻에 따라 대통령이 답을 주셔야 할 시기"라고 말했다.
한 실장은 의혹 제기가 거듭되고있는 세월호 참사 당시 박 대통령의 행적과 관련 "박 대통령의 관저에 집무실에 있다"고 말해 '박 대통령이 참사 당일 주로 관저 집무실을 이용했다'는 최근 청와대 입장과 궤를 같이했다.
그는 "박 대통령이 어디에서 집무했느냐는 것은 큰 문제가 안 된다"며 "분명히 말하건대 대통령이 집무하는 건 관저에서 할 수도 있고 본관에서 할 수도 있고, 비서실에서도 할 수 있다"면서 "그 점을 오해하지 말아달라"고 강조했다.
한편 한 실장은 이날 국조특위 기관 보고에 앞서 "마음이 매우 무겁고 송구스럽다"며 "국민 여러분께 커다란 상처와 실망감을 안겨드린 데 대해 대통령 비서실장으로서 깊이 고개 숙여 거듭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대국민 사과를 했다.
그는 "지난주 대통령께서 '이제 모든 것을 내려놓았다'고 말씀하셨다"면서 "현재의 여러 혼란스러운 상황이 잘 매듭지어져서 국정과 민생 모두 하루라도 빨리 안정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당부했다.
[미디어펜=한기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