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아시아, 미주를 M&A 거점으로 지역별 특색 반영

과거 대기업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해외 인수합병(M&A)에 중소·중견기업의 관심과 투자가 높아지자 정부가 중소기업의 해외 M&A 활성화 방안을 마련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7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글로벌 M&A지원센터 설립 1주년 성과보고 대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또 M&A 센터 설립 이후의 성과 점검과 중소․중견기업의 해외 M&A활성화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주요 대책을 살펴보면 우선 기업들이 가장 애로사항으로 꼽았던 유망매물에 대한 정보가 확대된다.

정보기술(IT)·자동차부품·의료 등 주요 산업별 전문 부티크 데이터베이스(DB)가 구축되고, 유망 매물기업 풀(Pool)이 지난해 280개에서 올해는 400개로 120개 늘어난다.

산업부는 관계자는 “특히 유럽, 아시아, 미주를 M&A 거점으로 지역별 특색을 반영한 차별화된 투자 상담회를 개최해 M&A 성사가능성을 높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4월 한-유럽 M&A플라자(공급망 확보형), 6월 한-인도 M&A상담회(생산거점 확보·내수공략형), 9월 실리콘밸리 M&A포럼(창조경제형) 등이 추진된다.

협상 실행단계에는 기업들이 가장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재무, 법률 실사 및 해외 현지 실사에 대한 지원이 확대된다.

이에 따라 회계·법률 실사비 지원금은 최대 3,000만원에서 5,000만원으로 늘고, M&A 성패를 가름하는 사후통합관리(PMI)에 대한 컨설팅비가 최대 3,000만원(매칭시 50% 지원)으로 증가된다.

또한 고위험-저수익 구조로 인해 민간의 투자가 저조한 M&A에 선도적으로 투자하는 ‘M&A 특화펀드(가칭)’를 시범 조성하고, ‘M&A금융 지원 자문단’을 통해 코파 펀드 등 이미 조성된 M&A지원 펀드의 투자 실행을 촉진할 계획이다.

코파펀드(Corporation Partnership Fund)는 중소기업의 해외진출을 지원하는 연기금이다.

산업부는 이밖에 민관합동 ‘해외 M&A지원기관 협의체’를 구성, 애로 해소 및 제도 개선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해외 M&A 성공과 실패 사례 분석 등 지식 공유의 장으로 활용할 방침이다. [미디어펜=권일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