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검찰이 해운대 엘시티(LCT) 인허가 과정의 비리가 있었다고 볼만한 단서를 포착, 인허가와 행정조치 비리·특혜여부 규명에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엘시티 인허가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한 공무원들이 전부 수사대상에 오를 전망이다. 특히 엘시티 시행사에 몸담았던 인사들이 곧 검찰에 소환될 것으로 보인다.

부산지검 특수부는 지난 1일 부산시청 건설본부장을 지낸 엘시티 시행사 감사 이모씨(71)의 자택을 압수수색하고, 이씨를 소환 조사했다.

부산시청에서 34년간 근무한 이씨는 건설본부장을 끝으로 1999년 퇴임한 뒤 부산교통공단 건설본부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교통공단 재직 시절 지하철 공사업체로부터 수천만원을 받은 혐의(특정범죄 가중처벌법 뇌물)로 2004년 구속됐다가, 항소심에서 집행유예가 선고됐다.

특히 엘시티 비리 핵심인물인 이영복(66·구속기소) 회장이 중심인물이었던 1990년대 말 부산 다대·만덕 택지전환 특혜 사건 때도 부산시청 건설 허가 관련 부서 간부로 근무했다.

이후 엘시티 시행사 감사로 자리를 옮겼다. 검찰은 이씨가 2009년 부산시 도시계획위원회 위원으로 위촉된 사실에 주목하고 있다. 2009년 12월 부산시 도시계획위는 엘시티에 특혜성 행정조치를 쏟아냈다.

개발 제약이 많은 중심지미관지구를 일반미관지구로 일원화했고, 60m로 제한된 해안 쪽 건물 높이 제한도 풀어줬다. 해변을 코앞에 둔 엘시티에 주거시설을 포함한 초고층 복합건물을 짓게 해준 격이다.

검찰은 또 엘시티 비리 연루 혐의로 한차례 불러 조사한 정기룡 전 부산시장 경제특보를 조만간 재차 소환할 예정이다. 정 전 특보의 추가 혐의 단서를 확인한 후속 조치로 보인다.

6년간 엘시티 시행사에서 일한 정씨는 2008년 8월~2010년 12월 엘시티 총괄 프로젝트 매니저, 2010년 12월~2013년 5월 엘시티 자산관리 부문 사장, 2013년 5월~2014년 9월 엘시티 고문을 지냈다.

검찰은 11월3일 부산시청과 부산도시공사·해운대구의회·해운대구청을 압수수색 해 인허가 전 과정이 담긴 방대한 자료를 확보, 압수물 분석을 통해 엘시티 인허가 비리를 의심할 만한 단서를 여러 건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 안팎에선 인허가를 담당한 행정기관인 부산시청·해운대구청·부산도시공사의 당시 고위인사들과 담당 공무원들이 조만간 검찰에 줄소환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