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부산시와 고용노동부가 조선‧해운업 실직자와 주변 피해 업종 종사자를 대상으로 추진하는 한시적 일자리사업이 사실상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한 공공근로 사업으로 성격이 변경됐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시적 일자리사업은 조선‧해운업 불황으로 실직했거나 실직 위기에 놓은 가족, 관련 업종 종사자 등을 대상으로 올해 9월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을 마련해 시작됐다.

지난 10월부터 3개월간 문화 관광이나 도시재생 등 지역 특화사업에 해당 인력을 투입하고 생계비 수준의 임금을 주는 방식이다.

부산시는 시비와 국비 75억4700만원을 들여 총 254개 사업에 2603명을 지원하기로 했다.

한시적 일자리 사업이 시작된 이후 지금까지 이 혜택을 받는 사람은 부산에서 2395명으로 목표치의 92%에 달했다.

해운‧조선업 실직자 지원이 주목적이지만 이 사업에 참여하는 사람 상당수가 해운‧조선업과 관련 없는 단순한 저소득층으로 확인됐다.

해운‧조선업 실직자를 지원한다는 사업이 사실상 저소득층을 위한 공공근로 사업으로 성격이 바뀐 것이다. 이들이 하는 일 역시 기존 공공근로와 다름없다는 지적이다. 

한시적 일자리 지원사업 참여자 대부분은 가로등 전수조사, 가로등 정비, 태풍 피해 복구, 담장 벽화조성, 은행나무 털기, 산책로 꽃길 조성 등의 업무를 수행 중이다. 임금 역시 월 92만원 안팎으로 생계유지에 빠듯한 수준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