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대한민국 만 15세 학생들의 읽기와 수학 실력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상위권 수준으로 나타났다.

단, 하위 수준 학생 비율이 3년 전보다 증가해 기초학력 향상을 위한 지원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OECD는 회원국 35개국을 포함해 72개국의 만 15세 학생 약 54만명을 대상으로 한 '국제 학업 성취도 평가 (PISA) 2015' 결과를 6일 발표했다.

PISA는 3년 주기로 읽기와 수학, 과학 성취도를 국제적으로 비교하는 평가로, 우리나라에서는 168개 중‧고교 학생 5749명이 작년 5월 평가에 참여했다.

평가결과 우리나라는 OECD 회원국 가운데 읽기 3∼8위, 수학 1∼4위, 과학 5∼8위로 상위권에 랭크됐다. 전체 참여국 중에서는 읽기 4∼9위, 수학 6∼9위, 과학 9∼14위를 각각 기록했다.

PISA는 평균점수 오차를 고려해 순위를 범위로 제시하고 있다. 읽기가 3∼8위라는 것은 평균점수 오차를 고려하면 최고 3위, 최저 8위에 해당할 수 있다는 의미다.

국가별 순위는 2012년 조사 때 읽기 1∼2위, 수학 1위, 과학 2∼4위를 기록했던 것과 비교하면 전반적으로 하락했다. 

국가별 순위에서는 싱가포르가 모두 1위에 랭크됐다. 싱가포르는 앞서 국제교육성취도평가협회(IEA)가 49개국 초등학생과 중학생 약 27만 명을 대상으로 한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 변화 국제 비교연구 2015'(TIMSS 2015)에서도 수학과 과학 모두 1위를 차지한바 있다.

OECD 회원국 중에서는 읽기 영역에서 캐나다‧핀란드가, 수학은 일본이, 과학은 일본과 에스토니아, 핀란드, 캐나다가 대한민국을 앞질렀다.

평균점수는 읽기, 수학, 과학에서 각각 517점, 524점, 516점으로 OECD 평균 493점, 490점, 493점보다 높았지만 3년 전 조사 때보다는 모두 하락했다.

한편 최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에서 '기초학력 미달' 수준의 중‧고등학생 비율이 늘어난 데 이어 PISA에서도 기초학력 미달 학생 비율이 늘어난 것으로 조사되면서 기초학력 향상을 위한 지원 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