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에 이어 LG그룹 전자계열사들이 올해부터 통상임금에 정기상여금을 포함키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타 기업들의 통상임금 논의에도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7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에 이어 LG그룹 계열사인 LG전자·LG이노텍·LG디스플레이가 정기상여금 600%를 통상임금에 포함하기로 합의했다.
통상임금은 근로자에게 소정근로에 대해 정기적·일률적으로 지급하기로 정한 임금으로 특근, 수당, 퇴직금 등의 기준이 된다.
LG그룹 관계자는 "개인별 실질적인 임금 인상률이 차이가 있겠지만, 전체적으로 인상 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계열사마다 임단협이 진행되는 속도와 상황이 달라 LG화학 등은 2분기 이후에나 결론이 날 전망"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삼성과 LG가 임금체계 개편에 나선 것은 지난해 12월 대법원이 정기상여금을 통상임금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판결하면서이다. 그간 국내 기업들은 정기상여금을 통상임금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다만, 삼성과 LG는 통상임금에 정기상여금이 포함돼 늘어나는 인건비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완충장치를 마련했다.
삼성전자는 올해 임금 인상률을 최저 1.9%로 정하고, 성과 등에 따라 인상률을 차등 적용해 올해 평균 임금인상률을 작년 대비 낮췄다.
LG전자는 임금인상 혜택이 예상되는 현장 기술직은 별도의 임금 조정을 하지 않기로 했고, 비중이 적은 사무직만 개인별 성과에 따라 기본급을 차등 인상키로 했다.
재계의 대표주자인 삼성과 LG가 통상임금에 대한 노사합의를 이끌어 내면서 업계에서는 다른 기업들도 통상임금에 대한 논의에 속도를 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미디어펜=권일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