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규태 기자]9일(현지시간)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이하 안보리) 북한인권 회의에서 다수의 안보리 이사국들은 북한의 인권 유린을 성토했으나, 중국은 안건 채택 투표에서 반대표를 던졌다.

이날 안보리 북한인권 회의는 미국과 프랑스, 영국 등 9개 이사국 요청에 따라 북한 인권 상황을 논의하고자 열렸다. 3년 연속 북한의 인권 상황을 정식 안건으로 올려 논의한 자리였다.

북한 인권을 정식 안건으로 채택하는 여부를 묻는 안보리 회의 절차 투표에서 찬성 9표, 반대 5표, 기권 1표로 가결됐다.

절차투표에서는 중국을 포함한 상임이사국의 거부권이 없으며, 9개국 이상이 찬성하면 채택된다.

절차투표에서 찬성한 이사국은 미국, 영국, 프랑스, 일본, 말레이시아, 뉴질랜드, 스페인, 우크라이나, 우루과이였다.

반대는 중국과 러시아, 베네수엘라, 이집트, 앙골라였다. 세네갈은 기권했다.

특히 중국은 북한이라는 개별 국가의 인권 상황을 안보리가 다루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는 이유로 반대했다.

   
▲ 9일(현지시간)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이하 안보리) 북한인권 회의에서 다수의 안보리 이사국들은 북한의 인권 유린을 성토했으나, 중국은 안건 채택 투표에서 반대표를 던졌다./사진=연합뉴스


이날 북한의 인권 상황이 안보리 정식 안건으로 채택된 것은 2014년 이후 3년 연속이다.

안보리가 개별 국가의 인권 상황을 정식 안건으로 다룬 것은 2005년 짐바브웨와 2006년 미얀마에 이어 북한이 세 번째이기도 하다.

절차투표 직후 이어진 회의에서는 북한 인권 상황에 대한 질타와 함께 개선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쏟아졌다.

이날 회의에서는 다수의 이사국들이 북한인권 문제와 국제 평화·안보간 상관 관계 및 책임규명의 필요성을 강조한 가운데 이산가족과 납북자, 외화벌이 노동자 등을 구체적으로 거론하며 인권 유린을 우려했다.

일본의 벳쇼 고로 대사는 "국제사회가 북한 인권 상황에 대한 우려를 계속 표하고 있는데도 개선되는 신호가 없다"며 "북한 정권은 핵 및 탄도미사일 개발보다는 북한 주민의 복지에 신경써야 한다"고 밝혓다.

이어 고로 대사는 납북자 문제를 집중 거론하면서 이들의 나이가 더 많아지기 이전에 석방을 촉구했다.

매튜 라이크로프트 영국 대사는 외국에서 외화벌이를 하는 북한 노동자들을 '현대 노예'라고 표현했다.

그는 "이들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과 함께 북한 정권에는 인권개선을 위한 의미있는 대화에 나서라"고 요구했다.
[미디어펜=김규태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