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금융당국이 서민 자금지원 여력을 확충하기 위해 정책서민자금의 공급여력을 대폭 확대한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서민-중소기업 금융상황 긴급 점검회의에서 "금리인상 등에 대비해 서민 자금지원 여력을 확충하겠다"고 밝히면서 "미소금융‧햇살론‧바꿔드림론‧새희망홀씨 등 4대 정책서민자금의 공급여력을 올해 5조7000억원에서 내년 7조원으로 대폭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
 |
|
▲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14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금융위 대회의실에서 서민-중소기업 금융상황 긴급점검회의를 열고 서민·중소기업 지원실적과 현황, 향후계획에 대해 논의했다. /금융위원회 |
임 위원장은 이번 지원안에 따라 약 67만명을 지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금리 대출 활성화 방안도 시행된다. 현재 공급중인 1조원 규모의 사잇돌대출 보증한도가 소진되면 즉시 1조원의 추가 공급을 추진하고 취급 금융사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채무조정을 완료한 이들에 대한 중금리 상품 공급도 추진된다.
이 밖에도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를 현재 33개에서 40여개로 확대 신설하고 청년‧대학생을 위한 신상품 개발을 추진하는 등 서민금융 전달체계와 상품을 개편하겠다는 계획도 나왔다. 신용대출 119 프로그램을 확대해 연체를 예방하고 상환능력이 일시적으로 떨어진 차주에 대한 긴급자금대출을 확대하는 방안도 있다.
임 위원장은 "중소기업의 자금조달에도 애로사항이 없도록 정책금융기관의 가용 자원과 역량을 총동원하겠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에 따라 기업은행이 총 59조원을 공급하고, 소기업‧소상공인 등에 대한 금리우대 등 특별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해 연 12조원 이상이 투입된다. 기업은행의 창업‧성장기업에 대한 자금 공급도 내년 중 18조원 이상 이뤄진다.
신보‧기보는 보증공급을 확장적 기조로 바꿔 지난해보다 최소 3조원 이상 늘어난 66조원 이상을 공급한다.
산업은행은 중견기업에 26조원 이상을 지원하고, 인공지능‧미래신성장산업에도 20조원 이상 자금을 공급한다.
기술금융에 대한 공급액도 당초 계획인 67조원에서 80조원으로 대폭 늘어난다. 기술금융 자체에 대한 투자도 확대해 2019년까지 예정된 1조원의 투자 목표를 내년까지 앞당겨 달성하고 2019년까지는 추가로 3조원 이상의 투자가 이뤄진다.
이 밖에도 임 위원장은 신용평가와 기술평가를 통합하는 여신시스템을 내재화하고, 보수적 여신관행을 개혁하기 위한 위탁보증도 차질 없이 도입하겠다는 구상을 발표했다.
임 위원장은 "흉년에 구제하는 정사는 미리 준비하는 것만 같지 못하다"는 목민심서의 구절을 인용하며 "지금은 선제적인 조치가 중요한 시점이며 서민과 중소기업의 심리가 위축되지 않도록 민관을 아우르는 전폭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