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정부는 역대 최대 피해를 낳고 있는 고병원성 조류독감(AI) 급속 확산과 관련 16일 대국민담화를 통해 축산농가 및 관계자, 지자체, 국민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했다.
이날 부로 AI 위기 경보 단계를 기존 '경계'에서 최고단계인 '심각'으로 격상시켰으며, 전국적으로 대응체계를 강화하는 한편 피해 농가에 대한 정책자금 지원책을 내놓을 계획이다.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이날 오전 대국민담화에서 "지난 11월17일 충북 음성과 전남 해남에서 고병원성 AI가 확진된 이후, 철새도래지와 밀집사육지역을 중심으로 AI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AI 바이러스는 H5N6형으로 2014년에 발생한 H5N8형 바이러스보다 병원성이 더 강하며 전파속도가 빠른 것으로 추정되고, 발생 1개월 만에 살처분 마릿수가 1600만 마리에 달하는 등 이전보다 피해규모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재수 장관은 "본격적인 겨울철로 접어들면서 방역 여건이 어려워지고 있고, 철새가 계속 국내로 들어오고 있으며, 농장 간 전파도 심각하게 우려된다"며 "이에 정부는 AI를 조기에 종식시키기 위해 오늘부터 위기경보를 경계단계에서 심각단계로 격상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AI 방역대책본부를 중앙사고수습본부로 전환, 전국 시·군에 AI 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를 설치한다. 또 통제초소를 전국의 주요 도로로 확대하는 등 대응조치를 강화한다.
이와 함께 발생농장 가축의 신속한 살처분과 주변 소독을 실시하고, 필요할 경우 축산관련 시설 등의 잠정적 폐쇄 조치도 검토한다. 현장에 투입되는 살처분 인력에는 인체감염 고위험군에 대한 항바이러스제를 투여하고 개인보호장구를 지급한다. 피해농가에 대한 신속한 정책자금 지원 등의 대책도 실시할 예정이다.
김 장관은 가금류 사육농가에는 "축사를 출입할 때 전용 신발과 방역복을 입어야 하고, 소독을 실시해야 하며, 농가모임 금지 등 방역 수칙도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며 "닭과 오리가 폐사하거나, 산란율이 떨어지는 등 이상 증상이 있을 경우 즉시 시·군·구, 가축위생시험소 등 방역기관에 신고해달라"고 당부했다.
국민들에겐 차량소독과 이동통제 등 조치에 대한 협조를 당부하고, 가금류 사육농장 방문과 주요 철새도래지 출입을 자제해달라고 주문했다.
한편 김 장관은 "AI 발생농장의 가금류는 모두 살처분되거나 폐기 처분되고 있기 때문에, 시중에 유통되는 닭고기, 오리고기, 계란 등은 안심하고 드셔도 된다"며 "만의 하나 AI 바이러스에 오염되었더라도 익혀드시면 안전하다"고 덧붙였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