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차기 기업은행장 선임을 둘러싸고 금융당국과 노조간 파열음이 커지고 있다.
기업은행장은 주무부처 장관의 제청을 받아 대통령이 임명하는 자리다. 하지만 지난 9일 국회의 탄핵안이 가결되면서 대통령의 직무가 정지돼 후임 인선에 대한 우려가 점증하고 있다. 은행권 안팎에서는 차기 은행장 인선에 대한 추측이 난무하기도 했다.
현직 권선주 행장의 임기는 이달 27일 만료되지만 후임자가 결정되지 않을 경우 박춘홍 전무가 대행을 맡는다.
그러나 박 전무의 임기 또한 내년 1월 20일로 기간이 길지 않다. 이때까지 인선이 완료되지 않으면 기업은행의 리더십 공백도 길어질 수밖에 없다.
한편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기업은행 지부는 이날 성명을 내고 "여러 경로로 확인한 결과 김규태 전 전무와 김도진 부행장, 관료 출신 외부인사 1명을 추천한 것으로 파악됐다"면서 "인사 배후에 현 정부 실세와 친박계가 개입한 정황도 확인됐다"고 주장했다.
특히 금융노조는 김도진 부행장을 겨냥해 "정찬우 현 한국거래소 이사장이 밀고 있으며, 김 부행장이 지난달 정 이사장과 정은보 금융위 부위원장 등과 모임을 가졌다"며 "부정청탁에 의한 인사를 중단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비판론이 거세지자 금융 당국과 김 부행장은 진화에 나섰다. 노조의 성명이 나간 직후 김 부행장과 금융위 측은 모두 "노조의 주장과는 달리 해당 인물들이 만난 사실이 없다"고 입장을 밝혔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