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새 통해 유입된 듯"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조류독감(AI)으로 전국이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야생조류 분변에서 새로운 종류의 고병원성 바이러스가 추가로 발견됐다.

이로 인해 두가지 유형의 AI 바이러스가 변종으로까지 발전할 가능성이 시사되며 더욱 골치 아픈 상황이 발생할 것으로 예견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9일 지난 13일 경기도 안성천에서 채취된 야생조류의 분변 시료를 정밀 검사한 결과, H5N8형 고병원성 AI로 최종 확진됐다고 밝혔다.

이 바이러스 유형은 현재 제주도를 뺀 전국에서 맹위를 떨치고 있는 H5N6형 바이러스와는 다른 유형으로, 국내에서 두 가지 이상의 AI 유형이 동시 발생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H5N6형은 병원성이 강하고 증상이 바로 나타나지만, 올겨울 처음 확인된 H5N8형의 경우 잠복기가 길어 발견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다.

다른 유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병원성이 약하다고는 하지만 이번 사태 다음으로 역대 최고급 피해를 낸 2014~2015년에 창궐했던 AI 바이러스 역시 H5N8형이었다.

농식품부는 이번에 검출된 바이러스의 출처를 파악하기 위해 역학 조사를 진행 중이다.

다만 중간 유전자 분석 결과 안성천에서 검출된 H5N8형이 과거 2014~2015년 바이러스와 유형은 같지만, 유전자 변이가 일부 확인되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잠복했다 발생한 것이 아닌 철새를 통해 새로 유입된 바이러스일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하지만 정부가 H5N6형의 전국 확산을 저지하는 데 사실상 실패한 상황에서 H5N8형 역시 같은 수순을 밟을 것이란 우려가 적지 않다. 실제 AI 위기경보가 '심각' 단계로 격상된 뒤에도 H5N6형 확산 기세는 좀처럼 꺾이고 있지 않다.

19일 0시 신고 건수가 92건으로 늘어난 가운데 76건이 고병원성 AI로 확진됐다. 나머지 16건도 확진 가능성이 크다. 이와 함께 예방적 도살처분 후 시행된 검사에서 확진된 농가까지 포함하면 AI 발생 농가는 이미 200농가를 넘어섰다.

야생조류 확진 건수는 26건(H5N6형 25건, H5N8형 1건)이다. 발생지역으로 따지면 8개 시·도, 27개 시·군으로 퍼졌다. 확진 및 예방 차원에서 도살 처분된 가금류 마릿수는 344농가 1천668만6천 마리에 달한다.

여기에 242만2천 마리가 추가 도살 처분될 예정이어서 도살처분 규모는 한 달 만에 1천900만 마리를 넘어서게 된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