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소정 기자]새누리당 비박계가 19일 모임을 갖고 전권 위임을 전제로 유승민 전 원내대표를 비대위원장 후보로 추천했다.
앞서 유 전 원내대표는 전날 “전권 위임이 전제된다면 독이 든 성배를 받겠다”는 말로 사실상 비대위원장직에 대한 의지를 드러낸 바 있다. 이에 대해 정우택 원내대표는 부정적인 반응을 내놓았고, 비박계는 자신들의 주장이 수용되지 않을 경우 분당 절차에 들어갈 수 있음을 시사해 당내 갈등이 고조될 전망이다.
비박계 정병국 의원은 19일 기자들과 만나 “해산이 됐지만 비상시국회 차원에서 연락되는 19명 의원이 모여 1차 논의를 했다”며 “유 전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을) 하는 것이 괜찮지 않느냐고 잠재적 의논을 했고, 좀 전에 유 전 원내대표를 만나 합의를 봤다”고 말했다.
정 의원은 “(아침 논의에서는) 정 원내대표 체제 하에 비대위 체제는 지금까지의 새누리당을 해체하고 거듭나는 것이 돼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다”면서 “외부인사가 맡는 것은 맞지 않다(고 결론냈다)”고 말했다.
정 의원은 이어 “내부인사라면 김무성 전 대표나 유 전 원내대표가 하는 것이 좋겠는데 김 전 대표는 그 자리에서 하지 않겠다고 말했다”며 “그래서 유 전 원내대표가 전날 독배라도 당을 살리는 길이라면 들겠다는 입장을 보였으니 유 전 원내대표가 하는 것이 괜찮지 않느냐는 잠재적 의논을 했다”고 설명했다.
정 의원은 “좀 전에 유 전 원내대표를 만나 아침에 논의했던 사항이 이렇다고 전달했고 그 입장을 그대로 정 원내대표에게 전달하겠다 해서 그렇게 하기로 합의를 봤다”며 “우리 입장은 비대위원장으로 유 전 원내대표를 해야 하고 전권을 줘야 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새누리당 비박계가 뜻을 모아 유 전 원내대표를 비대위원장으로 추천했지만 친박계는 완강한 입장이다. 이날 오전 정 원내대표는 기자간담회를 갖고 “비주류에게 추천권을 준 것은 단합을 해치고 정권재창출에 지장이 될 사람을 추천해달라는 것은 아니다. 당의 분열과 갈등을 일으킬 소지가 있는 사람은 안된다”고 밝혀 전날 유 전 원내대표의 배수진을 치는 출마선언에 부정적으로 답했다.
비박계는 유 전 원내대표의 비대위원장 선임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분당 수순까지 고려한다는 입장이다. 정 의원은 불발 시 탈당하느냐는 질문에 “탈당은 개별적인 사안이며 당을 갈라치기 한다든지(하는 방안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분당을 고려한 말이냐는 질문에는 “그렇다. 개별적으로 나가는 사람은 없을 것”이라고 답했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