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한국 사회의 고령화 속도에 비해 노후 준비는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통계청과 금융감독원, 한국은행은 20일 '2016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가구 5곳 중 1곳은 노후 준비를 하지 않고 있다는 응답이 나왔다고 밝혔다.
|
 |
|
▲ 한국 사회의 고령화 속도에 비해 노후 준비는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연합뉴스 |
아울러 노인의 절반 가량은 '빈곤층'으로 파악됐으며 부채는 소득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늘어나는 것으로 파악됐다.
작년 한해 조사대상 2만 가구의 평균 가구소득은 4883만원으로 2014년 4770만원보다 113만원(2.4%) 증가했다.
소득에서 세금 등 비소비성 지출을 제외한 처분가능소득도 4022만원으로 2014년에 비해 95만원(2.4%) 늘었다.
가구소득 중 '근로소득'은 3199만원으로 전년 대비 2.2% 늘었으나 사업소득은 1122만원으로 1.7% 감소했다.
가구주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상용근로자 가구가 6341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자영업자 가구는 5611만원, 임시‧일용근로자 가구는 2902만원으로 파악됐다.
가구주 연령대별로는 60세 이상 가구의 소득 증가율이 4.9%로 가장 높았으나 가계의 평균 소득 증가율은 갈수록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 우려를 더했다.
가계금융‧복지조사 통계가 나오기 시작한 2012년에는 5.8%를 기록했지만 2013년 4.0%로 떨어졌고 2014년부터 2년 연속 2.4%로 집계됐다.
특히 가계 소득 증가율이 부채 증가율보다 훨씬 낮다는 점이 걱정스러운 부분이다. 올해 3월 말 현재 가구당 평균 부채는 6655만원으로 1년 사이 6.4% 늘었다. 소득 증가율보다 부채 증가율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 셈이다.
한편 빈곤층의 소득은 정체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작년 중위소득의 50% 미만인 인구가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인 빈곤율은 처분가능소득 기준 16.0%로 집계됐다.
또한 작년 '균등화 처분가능소득'(중위소득의 50% 기준) 기준 빈곤선은 연간 1188만원이다. 이 가운데 특히 노인층 상황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65세 이상 노인층의 빈곤율은 처분가능소득 기준으로 46.9%이고 은퇴연령층(66세 이상)은 48.1%로 파악됐다. 노인층 빈곤율은 2014년보다 0.1%p 낮아졌지만 여전히 노인 2명 중 1명은 빈곤에 허덕이고 있어 상황이 심각하다.
|
 |
|
▲ 표=통계청‧금융감독원‧한국은행 |
문제는 노후 준비가 미비하다는 점이다. 지난 3월 말 현재 조사가구 중 은퇴 가구의 비율은 16.3%로 작년(15.1%)보다 1.2%p 높아졌다. 예상 은퇴 연령은 66.9세로 1년 전보다 0.7세 올라갔다.
상황이 이러함에도 가구주가 은퇴하지 않은 가구를 대상으로 노후준비 상황을 조사한 결과, '아주 잘돼 있다'(1.3%)와 '잘 돼 있다'(7.5%) 등 긍정적 답변은 8.8%에 불과했다.
'잘 돼 있지 않다'(37.3%)와 '전혀 돼 있지 않다'(19.3%) 등 부정적 응답은 56.6%로 절반을 넘어섰다. 부정적 응답의 비율은 작년(55.4%)보다 1.2%p 상승했다.
특히 노후준비가 '전혀 돼 있지 않다'는 응답은 작년 조사 때 17.4%보다 1.9%p나 상승했다.
빈곤율을 종사상 지위별로 살펴보면 자영업자의 상황이 특히 나빠졌다. 작년 자영업자 가구의 빈곤율은 12.9%로 2014년(12.3%)보다 0.6%p 올라갔다.
반면 상용근로자(4.4%→4.1%)와 임시‧일용근로자(24.7%→21.8%)는 빈곤율이 소폭 하락했다.
한편 가계는 부동산 등 실물자산을 많이 늘린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3월 말 가구의 평균 자산은 3억6187만원으로 작년(3억4685만원)보다 4.3% 증가했다. 금융자산은 9400만원으로 1.2% 늘었고 실물자산은 2억6788만원으로 5.5% 올라갔다.
특히 실물자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부동산 자산이 2억5029만원으로 5.8% 많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저금리 장기화 등에 따른 부동산 경기의 호조에 영향을 받은 결과로 분석된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