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오늘(21일)은 24절기 중 하나인 동지다. 음력 11월 23일인 동지는 대설과 소한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태양의 황경이 270°에 위치한 때여서 일년 중에서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다.

동지 다음날부터는 낮이 길어지기 때문에 태양이 부활한다는 의미가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설날 다음가는 ‘아세(亞歲)’ 또는 ‘작은설’이라고 칭하기도 했다. 서양의 성탄절 또한 페르시아의 미트라교(Mithraism)의 동지 축제일이나 태양 숭배의 풍속을 이용해 예수 탄생을 기념하게 됐다는 설도 있다.

동짓날에는 동지팥죽을 먹는 풍습이 있다. 작은 설날로 불리는 동짓날에 동지팥죽 한 그릇을 먹으면 나이를 한살 더 먹는다고 한다. 동지팥죽에 나이만큼 새알심의 개수를 넣어 먹는 것도 따지고 보면 다 그런 연유에서 비롯됐다고 전해진다. 또 선조들은 팥의 붉은 색이 부정과 잡귀 그리고 액운을 막아준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믿었다.

동짓날 팥죽을 쑨 유래는 중국이다. 고대 중국 신화의 인물, 강을 다스리는 신 '공공씨'의 망나니 아들이 동짓날 죽어서 '역귀'가 됐다. 역귀는 전염병을 퍼뜨리는 귀신을 일컫는다. 죽은 아들이 평상시에 팥을 두려워하였기 때문에 사람들은 동짓날 팥죽을 쑤어먹어 악귀를 쫓았다고 전해진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