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소정 기자]남한에서 거주하는 이산가족 4명 중 3명은 아직 북한 가족의 생사 여부를 확인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산가족들은 북한의 가족들에 대한 생사확인을 가장 시급히 추진되어야 할 정책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일부는 22일 ‘2016년 이산가족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 이산가족 문제 해결을 위해 전면적인 생사 확인이 가장 시급히 추진되어야 할 정책으로 평가됐다고 밝혔다.
국내 거주 이산가족 가운데 표본으로 선정된 6142명을 대상으로 이산가족 교류 실태 및 정책 인식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산가족들은 ‘전면적인 생사확인 추진’(76.3%)을 가장 시급한 정책으로 생각했다. 분단 70년이지만 이산가족 교류가 기초 단계에 머물러 있는 것을 나타낸다.
다음 이산가족들이 희망하는 시급한 정책은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로 10.3%에 머물러 큰 차이도 보였다.
이번 조사에서는 이산가족상봉 행사에 참여해본 이들이 어떤 인식을 갖고 있는지도 조사돼 눈길을 끌었다.
먼저 ‘상봉행사 때 불편을 겪었다’는 34.3%이며, ‘불편을 겪지 않았다’는 65.7%였다. 상봉행사 때 불편을 겪은 이유로 ‘짧은 만남의 아쉬움’이 45.7%로 가장 많았고, ‘행사 관계자로 인한 편안한 대화의 어려움’도 32.3%였다.
이어 ‘장거리 이동이 불편’이 15.0%였으며, ‘기자들의 인터뷰 요청과 사진촬영으로 인한 사생활 침해’ 2.7%, ‘숙소와 상봉장소까지 잦은 이동이 불편’도 1.4% 나왔다.
| |
 |
|
| ▲ 통일부는 22일 ‘2016년 이산가족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 이산가족 문제 해결을 위해 전면적인 생사 확인이 가장 시급히 추진되어야 할 정책으로 평가됐다고 밝혔다.
|
상봉과 관련해 개선되기를 희망하는 의견으로는 ‘금강산뿐만 아니라 서울이나 서부지역으로 상봉장소를 확대’가 40.0%로 가장 많았다. 다음 ‘북측 가족 및 친척과 진솔한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시간 확대’가 37.7%였다. ‘이동을 줄이고 한 건물에서의 계속적인 만남’(10.6%), ‘상봉행사에 있어 언론으로부터의 사생활 보장’(8.6%) 의견도 있었다.
이산가족들은 남북간 민간 교류에 대해 긍정적 의견(52.4%)이 부정적 의견(20.9%)보다 더 많았다. 당국 차원의 교류를 우선으로 하되 민간 교류도 허용하자는 것이다.
반면, 실제 민간 교류에 참여하겠다는 의사는 ‘없다’가 46.5%로 ‘있다’ 38.5%보다 더 많았다. ‘경제적 부담’과 ‘중개인들에 의한 사기 피해 우려’, ‘정보 부족’ 등이 이유였다.
아울러 이산가족들은 ‘이산가족의 기록물 수집·보존에 39.5%가 동의해 정부가 이산가족의 아픔을 위로하고 국민적 관심을 모아주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산가족 관련 문화예술 보급과 이산가족 위로행사도 확대되기를 희망했다. 이산가족 유전자 검사 및 영상편지 제작에도 긍정적이었다.
이번 조사는 통일부와 대한적십자사가 협업으로 이산가족의 전면적 생사 확인 등 교류에 대비한 기본 자료를 정비하고 이산가족 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2011년에 이어 두 번째로 실시됐다.
이번에 이산가족 찾기 신청자 5만1174명을 대상으로 신청서 기재 내용을 확인하고 헤어진 사연과 가족 사항, 거주지, 연락처, 사진 등 누락 또는 변경 내용을 수정하는 등 이산가족 교류 시 활용될 이산가족 정보를 높이는 성과가 있었다고 통일부는 밝혔다.
이산가족 신청서 기재 내용을 정비한 결과 성별은 남성이 66.1%로 여성 33.9%보다 더 높았다. 연령대는 80대가 43.9%로 가장 많았다. 거주지는 서울·경기 지역이 57%로 파악됐다.
이산 사유로는 실향민이 71.5%로 가장 많았다. 이어 납북자 9.7%, 기타 6.7%, 행방불명 6.7%, 월북자 2.9%, 국군포로 2.7%, 무기재 2.5%, 북한이탈주민 0.6%였다.
성묘를 위해 방북할 의사가 있나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한 사람은 68.3%, ‘아니다’라고 답한 사람은 34.5%였다. 방북 의사가 없는 이유로는 ‘건강이 좋지 않아서’가 57.7%로 가장 많았고 ‘고향이 많이 변했을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이 16.1%, ‘신변안전이 걱정되기 때문’은 11.6%로 나왔다. 이 밖에 ‘사망했거나 사망하였을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이 6.4%, ‘소요 비용이 부담스러워서’도 3.1% 나왔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